디스코드 무한로딩 및 검은화면 인증서 오류 해결 방법

디스코드를 실행했을 때 아무런 반응 없이 무한 로딩이 지속되거나 검은 화면만 나타나는 현상은 많은 사용자들이 겪는 문제 중 하나로 이런 증상은 윈도우 운영체제의 업데이트 상태나 인증서 설정, 디스코드의 설치 경로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으며, 때로는 백신 프로그램이나 그래픽 드라이버 충돌, 네트워크 설정 오류 등 예상치 못한 요소들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럼 디스코드 실행 오류의 다양한 유형과 함께, 코드별 증상 분석부터 구체적인 해결법까지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1. 디스코드 무한로딩 실행안되는 문제 원인 분석

디스코드 실행 시 실행안되고 무한로딩과 함께 검은화면이 나오는 증상
  • 윈도우 버전이 낮아 적합한 소프트웨어, 인증서, 보안 체계가 미비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 업데이트 자체가 문제를 해결하지 않지만, 최신 버전으로의 업데이트는 시스템 안정성과 보안을 향상시켜 관련 문제를 간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디스코드 오류 해결방법은?

기본 해결 방법

윈도우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윈도우10의 최신 빌드로 업데이트하거나 클린 설치를 권장합니다.

인증서 업데이트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된 COMODO ECC 인증서 문제는 일부 사용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해당 인증서가 없다면 다음과 같이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인증서 설치
  1. 윈도우 키를 눌러 mmc.exe를 검색하고 실행합니다.
  2. ‘파일’ 메뉴에서 ‘스냅인 추가/제거’를 선택 후 ‘인증서’를 추가하고, ‘컴퓨터 계정’을 선택 후 ‘로컬 컴퓨터’를 선택합니다.
  3. ‘신뢰할 수 있는 루트 인증 기관’으로 이동해 ‘인증서’ 폴더에서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4. 다운로드한 COMODO ECC 인증서 파일을 찾아 선택하고 설치를 완료합니다.

Discord 설치 경로 확인

디스코드 설치된 경로 삭제
  1.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Discord 경로로 이동합니다.
  2. Update.exe 파일을 삭제하고, Discord.exe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레지스트리 수정을 통한 인증서 자동 갱신 설정

다음 명령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된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실행합니.

reg add "HKLM\SOFTWARE\Policies\Microsoft\SystemCertificates\AuthRoot" /v "DisableRootAutoUpdate" /t REG_DWORD /d "0" /f 

이 명령은 인증서 자동 갱신을 활성화하여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무한로딩 및 검은화면 인증서 오류 해결 방법 8

참고로 이러한 문제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패치, 보안 강화 조치로 인해 지속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 FAQ

디스코드 실행 시 “JavaScript 오류” 메시지가 뜨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 오류는 디스코드 설치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임시 파일이 남아 있을 때 발생합니다.

디스코드를 완전히 삭제한 후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DiscordAppData\Roaming\discord 폴더까지 수동으로 제거한 다음,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설치 파일을 받아 재설치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디스코드 실행 시 화면이 멈추고 아무 반응이 없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이런 현상은 그래픽 드라이버 충돌, 백그라운드 프로그램과의 충돌, 또는 하드웨어 가속 설정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설정에서 하드웨어 가속을 비활성화하거나, 안전 모드로 부팅하여 충돌 프로그램 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실행이 되지 않는 경우, 단축 아이콘을 우클릭 → 속성 → 대상에 --disable-gpu 옵션을 추가해 실행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업데이트 후 실행이 되지 않을 때는?

업데이트 파일이 비정상적으로 설치되었거나 충돌이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AppData\Local\Discord 폴더의 Update.exe를 삭제한 뒤 Discord.exe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거나, 아예 모든 디스코드 폴더를 삭제 후 클린 설치를 권장합니다.

디스코드가 네트워크 연결 오류로 실행되지 않을 경우 해결 방법은?

디스코드가 무한 로딩에 걸리는 원인이 방화벽 설정이나 프록시 차단일 수도 있습니다.

윈도우 방화벽 및 보안 프로그램 설정에서 Discord를 허용 목록에 추가하거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netsh winsock reset 명령을 실행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초기화해 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VPN이 연결되어 있다면 일시적으로 해제한 뒤 다시 시도해보세요.

백신 프로그램이 디스코드 실행을 차단할 수도 있나요?

일부 백신 또는 보안 소프트웨어는 디스코드를 악성 프로그램으로 오인해 실행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vast, BitDefender, Windows Defender 등이 있으며, 이 경우 디스코드 폴더 전체를 예외 목록에 추가하거나, 임시로 실시간 감시 기능을 끈 상태에서 실행해볼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가 자동 실행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설정하나요?

디스코드 설정 → Windows 설정 → 시작 시 Discord 열기 옵션을 비활성화하면 됩니다.

또는 작업 관리자 →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Discord 항목을 ‘사용 안 함’으로 설정해도 됩니다.

이상 이와 같은 방법으로 디스코드의 무한 로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지속되면 디스코드 공식 지원 센터를 통해 추가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디스코드 오류 코드: 1105

이 오류는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 서버 연결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디스코드 서버 과부하 또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태가 불안정할 때 나타납니다.

해결 방법

  • 먼저 디스코드 서버 상태 페이지(https://discordstatus.com)를 통해 현재 서비스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이후 DNS 설정을 Google DNS(8.8.8.8 / 8.8.4.4)로 변경해보세요.
  • 브라우저나 시스템의 프록시 설정을 끄거나 VPN 연결을 종료한 상태에서 실행을 다시 시도합니다.

디스코드 오류 코드: 4004

이 오류는 디스코드 로그인 시 인증 토큰 문제 또는 서버 거부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 계정을 로그아웃 후 재로그인하거나, 문제가 반복되면 디스코드를 삭제 후 재설치합니다.
  •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로그인한 경우 충돌이 생길 수 있으므로, 해당 기기들에서 로그아웃 후 한 곳에서만 재접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류 메시지: “Update Failed – Retrying in Xs”

이 메시지는 디스코드 업데이트 파일이 손상됐거나 보안 소프트웨어가 해당 파일을 차단하고 있을 때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

  •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DiscordUpdate.exeSquirrelSetup.log 파일을 삭제 후 Discord.exe를 다시 실행합니다.
  • 혹은 백신 프로그램을 일시 정지하고 설치 파일을 재실행하거나, 인터넷 연결 상태를 점검한 뒤 설치를 재시도합니다.

“디스코드 실행 중 오류 발생 – 코드 205”

일부 구형 시스템 또는 제어되지 않은 백그라운드 서비스 충돌 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해결 방법

  • 작업 관리자에서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실행하거나, ‘msconfig’ 명령을 통해 시스템 시작 항목에서 디스코드 외 요소를 일시 비활성화 후 재부팅합니다.

디스코드 실행 시 오디오가 작동하지 않거나 끊김 현상

이 현상은 윈도우 오디오 장치 설정 또는 드라이버와 관련된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해결 방법

  • 사운드 설정 → 재생 장치에서 기본 장치를 확인하고, ‘기본 통신 장치’로도 설정해봅니다.
  • 오디오 드라이버를 장치관리자에서 업데이트하거나, 이전 버전으로 롤백 후 테스트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