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1 맥어드레스 변경 – 맥주소 (물리적주소) 3가지

컴퓨터 라이센스 맥충돌 네트워크 연결 문제가 발생한다면?

컴퓨터나노트북 등 각 pc의 맥주소 (물리적주소)는 고유한 고정식 ip주소이지만 필요에 다라 맥어드레스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맥어드레스 변경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라이센스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맥어드레스 변경 시 주의해야 하며 Lmtools 라이센스 설정 시 라이선스 파일의 MacAddress 다르다면 변경해줘야합니다.

참고로 “CID”Composit ID”의 경우 MAC주소와 HostName 그리고 그래픽카드나 윈도우버전 등에 따라 변경되기 때문에 맥주소 변경한다고 해서 CID 원하는 정보로 설정되지 않습니다.

참고 : 윈도우11 맥어드레스 확인 – 맥주소 (물리적주소) 5가지

윈도우11 장치관리자 / 어댑터 옵션변경

윈도우11 맥어드레스 변경 – 맥주소 물리적주소 3가지 2

윈도우11 및 윈도우10, 윈도우8.1, 윈도우7 등 컴퓨터 및 노트북의 물리적주소 변경하는 방법으로 장치관리자나 어댑터옵션을 통해 랜카드 설정에서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옵션 변경으로 들어가 이더넷 상태 ->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윈도우11 맥어드레스 변경 – 맥주소 물리적주소 3가지 3

아니면 장치관리자에서 바로 사용중인 랜카드에서 이더넷 속성으로 들어가도 됩니다.

이후 랜카드 구성으로 들어가 고급 -> 네트워크 주소를 선택합니다.

물리적주소 맥어드레스 변경
네트워크 주소 변경 – MacAddress Change

없음으로 체크되면 자동으로 물리적주소 할당되며 수동으로 물리적주소 변경하고 싶다면 값(v)를 체크 후 원하는 맥주소 변경합니다.

Mac Address Changer For Windows

지금까지 맥주소 변경하거나 맥어드레스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MacAddressChanger 있습니다.

Mac Address Changer For Windows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현재 맥주소를 확인할 수 있으며 Change MAC ID를 통해 맥어드레스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맥어드레스스 변경 후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거나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다면 Reset MAC ID를 통해 맥주소 초기화가 가능합니다.

인터넷공유기 맥어드레스 변경

윈도우11 맥어드레스 변경 – 맥주소 물리적주소 3가지 1

마지막 3번째로는 공유기 설정페이지로 들어가 인터넷 설정정보에서 맥주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이피타임 IpTime 공유기 기준 공유기설정은 192.168.0.1 접속하면 되며 공유기 설정방법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FAQ

맥주소를 변경하면 인터넷 연결이 안 되는 경우, 어떻게 해결하나요?

맥주소를 수동으로 변경한 이후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 문제는 대부분 공유기 또는 라우터가 특정 맥주소만 허용하도록 설정된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공유기의 DHCP 설정에서 등록된 맥주소와 일치하지 않으면 IP가 할당되지 않아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공유기 설정에서 새로운 맥주소를 허용하거나, 변경 전 맥주소로 되돌리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책입니다.

MAC 주소 충돌이 발생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같은 네트워크에 동일한 MAC 주소를 가진 장치가 두 대 이상 존재할 경우, 충돌로 인해 IP 충돌, 접속 불가, 전송 오류, 간헐적 끊김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가상머신(VM)이나 동일 이미지 복제 환경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이 경우 장치마다 고유한 맥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DHCP에서 자동 할당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맥주소는 윈도우를 재설치해도 유지되나요?

기본적으로 맥주소는 랜카드(네트워크 어댑터)의 하드웨어 고유값이기 때문에 윈도우를 재설치해도 변경되지 않습니다.

다만 이전에 수동으로 변경해 둔 경우에는, OS 재설치 후 자동으로 초기값으로 되돌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라이선스 연동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 복원이나 재설치 전에 맥주소를 백업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상 머신(VM) 환경에서 맥주소를 임의로 설정해도 괜찮을까요?

VMware, VirtualBox 등의 가상머신에서는 맥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인증을 위해 정해진 맥주소를 입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장치와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유한 범위 내에서 관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가상 머신 내부에서 자동 생성된 맥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MAC 주소 변경은 합법인가요?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맥주소 변경은 불법이 아닙니다. 특히 보안 테스트, 네트워크 테스트, 장비 인증 등 정당한 이유로 사용하는 경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타인의 인증 정보를 위조하거나, 맥주소를 이용한 불법접속은 전기통신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사용 목적에 따라 합법 여부가 달라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MAC 주소는 무조건 수동으로 고정하는 것이 좋은가요?

모든 환경에서 고정된 맥주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기업 내부망, 보안이 엄격한 환경에서는 인증 기반으로 고정 맥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나 가정용 환경에서는 자동으로 설정된 맥주소가 네트워크 충돌이나 인증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유연하게 관리 가능합니다.

MAC 주소 변경 후 라이선스 인증이 초기화되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NX, AutoCAD, Adobe 등 일부 소프트웨어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라이선스를 발급받습니다.

맥주소가 변경되면 라이선스 인증이 풀리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해당 소프트웨어 공급사에 문의해 새로운 인증 요청 또는 기존 라이선스 재발급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라이선스를 처음 설정할 때는 반드시 고정된 맥주소 상태에서 인증을 받아야 재인증 없이 유지할 수 있습니다.

참고 : 아이피타임 공유기 와이파이 암호설정 및 변경방법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