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ySign4PC 삭제와 KISA 긴급 보안패치 알림, 지금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AnySign4PC 삭제와 KISA 보안 업데이트 알림 – 지금 꼭 조치해야 할 이유

2025년 7월 8일, 컴퓨터를 켜자마자 ‘KISA 긴급 보안패치 시스템’이라는 팝업창이 떴다면? 절대 무시하지 마세요. 이건 단순한 광고나 스팸이 아닌, 정부 공식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배포한 AnySign4PC 보안 취약점 대응 경고입니다.

그동안 잘 쓰지도 않았던 AnySign4PC가 갑자기 소환된 이유, 왜 AnySign4PC 삭제해야 하는지, 그리고 아직도 남아있다면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AnySign4PC, 이젠 안 써도 되는데 왜 위험할까?

AnySign4PC 삭제와 KISA 긴급 보안패치 알림, 지금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과거 공인인증서(현 공동인증서) 시절, 공공기관이나 은행 사이트 이용 시 자동으로 설치되었던 프로그램이 바로 AnySign4PC입니다.

그런데 많은 사용자들이 이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방치해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이 구버전 프로그램(예: 1.1.4.3 이하)에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이 취약점을 통해 아래와 같은 위협이 발생할 수 있어요.

  • 해커가 원격으로 명령 실행
  • 키보드 입력 감시 → 금융정보 탈취
  • 시스템 전체 감염 및 제어
  •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PC로 확산

❗ 특히 PC에 설치된 위치가 C:\Program Files (x86)\SoftForum\AnySign4PC\AnySign4PC.exe 이라면 구버전일 확률이 높습니다.

KISA ‘긴급 보안패치 시스템’이란?

KISA ‘긴급 보안패치 시스템’이란?

KISA는 현재 보안 취약점 클리닝 시스템(C-Clean) 을 시범 운영 중이며, AnySign4PC처럼 오래되고 위험한 보안 모듈을 자동 탐지해 팝업 알림으로 경고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다음의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 KISA → 백신사 → 사용자
  • 구형 보안 프로그램 탐지
  • 알림창 팝업
  • 공식 패치 링크 연결
  • 설치 여부는 사용자 선택

🔗 KISA 보안공지 공식 페이지: 👉 https://www.boho.or.kr/

AnySign4PC 보안 업데이트 또는 AnySign4PC 삭제 방법

1️⃣ 자동 패치 유도

AnySign4PC 보안 업데이트 또는 삭제 방법

AnySign4PC를 직접 실행하면 자동 업데이트 안내가 뜹니다. 최신 버전으로 즉시 설치해 주세요.

🆕 최신 버전: 1.1.4.4 (32/64비트)

2️⃣ 수동 업데이트 경로

자동 알림이 뜨지 않는다면, 공식 배포처에서 직접 설치파일을 내려받아 수동 설치합니다.

🔗 한컴위드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 👉 접속하기

또는 🔗 KISA 보호나라 보안패치 배포 페이지: 👉 https://www.boho.or.kr

설치 전 반드시 백신으로 파일을 검사하고, 디지털 서명이 있는 정식 파일인지 확인하세요.

3️⃣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면 삭제

공동인증서를 더는 사용하지 않는다면, 삭제가 가장 안전합니다.

제어판 > 프로그램 제거 > AnySign4PC 에서 삭제 가능하지만, 간혹 삭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nySign4PC 강제 삭제 방법

삭제가 되지 않거나 ‘사용 중’이라는 오류가 발생한다면 아래 방법을 시도하세요:

AnySign4PC 강제 삭제 방법
  • Ctrl + Shift + Esc → 작업 관리자 → AnySign4PC.exe 종료
  • 윈도우 안전모드 부팅 후 제거
  • Revo Uninstaller 또는 IObit Uninstaller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AnySign4PC 삭제

※ 설치된 AnySign4PC 파일에 디지털 서명이 있는지 확인해, 유사 악성프로그램과 구분하세요.

AnySign4PC가 없는데 KISA 팝업이 떴다면?

이번 시스템은 AnySign4PC뿐만 아니라 아래 구형 보안 모듈들도 자동 탐지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이름주요 용도보안 위협 요소권장 조치
AnySign4PC공동인증서 기반 전자서명구버전 보안 취약점, 원격 제어, 악성 코드 감염최신 버전 업데이트 또는 삭제
TouchEn nxKey키보드 입력 보안키 입력 값 탈취, 브라우저 보안 충돌삭제 또는 최신 버전 유지
XecureWeb공공기관/은행 보안 통신 모듈오래된 SSL 라이브러리, 중간자 공격(MITM) 위험사용 여부 점검 후 삭제 권장
nProtect Netizen바이러스 검사/웹 보안백그라운드 과도 실행, 리소스 점유, 업데이트 불가 시 취약최신 EDR 또는 백신으로 교체
CrossEX라이선스 관리/웹 DRM시스템 레지스트리 상주, 불필요한 DLL 파일 생성, 감염경로 될 수 있음사용 안 하면 완전 제거
AhnLab Safe Transaction금융기관 보안 접속 도구보안 허점 있는 구버전 잔존 시 정보 유출 가능최신 버전 유지, 사용 안 할 시 삭제
MagicLine4NX전자서명용 액티브X업데이트 중단된 버전 존재, 피싱에 악용될 수 있음사용 여부 확인 후 삭제 또는 최신화
IPinside LWS Agent사설망/업무망 연결 프로그램정보수집형 행위, 백도어 위험 경고 사례 존재민간 사용자 PC에서는 삭제 권장
KSignG3, RaonSecure인증서/전자서명 모듈자동 설치 후 방치되면 취약점 노출 가능사용 기관 외 불필요 시 삭제

Program Files / (x86) 폴더에서 관련 폴더나 .dll 파일이 남아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기업이나 기관 내 다수 PC는 어떻게 관리하나요?

기업 보안 담당자라면 아래 방식으로 대규모 대응이 가능합니다:

  • KISA C-Clean 시스템 연동 → 중앙관리 방식 도입
  • EDR(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 솔루션 연계 (AhnLab, nProtect 등)
  • PSEXEC, PowerShell, WSUS, GPO 등 활용한 스크립트 배포

보안 경고를 진짜로 구분하는 팁악성코드도 KISA 로고를 도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꼭 아래 항목을 체크하세요

✅ 발신자 주소: kisa.or.kr, boho.or.kr, krCERT
✅ 알림 내용과 동일한 공지가 보호나라에도 등록돼 있는지
✅ 설치파일 → 우클릭 → 디지털 서명 확인
✅ 공식 도메인 링크 외 다운로드 금지

보안 설정 추가 팁

  • Windows 방화벽 항상 ON
  • UAC(사용자 계정 컨트롤) 높음 이상
  • 관리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 분리
  • 주기적 백업 및 복구 지점 설정
  • ActiveX 잔존 모듈 정리
  • WSUS 또는 Windows Update 자동 설치 설정 유지

아무리 보안에 무관심한 사용자라도, 이번 AnySign4PC 보안 패치 이슈는 그냥 지나쳐선 안 됩니다.

한 번이라도 공동인증서를 사용한 적이 있다면, 해당 프로그램이 여전히 당신의 PC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프리랜서나 소기업 사용자의 경우, 악성코드 감염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금전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단 10분의 조치가 당신의 정보를 지킬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AnySign4PC 상태를 확인해보세요.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