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리드웍스(SOLIDWORKS) 2D 도면양식 템플릿 만들기 쉽게 따라하기

제품 설계를 하다 보면 매번 같은 도면 양식을 새로 만드는 일이 의외로 번거롭다. 솔리드웍스에서는 이런 반복 작업을 줄이기 위해 2D 도면 템플릿시트 형식 기능을 제공한다.

도면의 기본 구조와 도곽, 주석, 표제란 등을 미리 설정해두면, 이후 새 도면을 만들 때 일관된 양식을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다.

그럼 솔리드웍스(SOLIDWORKS) 환경에서 2D 도면 템플릿을 직접 만들어 저장하는 방법을 하나씩 정리해본다.

1. 도면 템플릿의 개념 이해하기

솔리드웍스 도면 템플릿은 단순한 빈 파일이 아니다.

치수 표기 형식, 단위(mm/inch), 선 두께, 글꼴, 치수 방향 등 도면의 기본 설정이 포함된 일종의 표준 규격 파일이다. 여기에 시트 형식(.slddrt)을 결합하면 완성된 도면 양식이 된다.

이 두 파일을 구분해 관리하면 도면의 겉모양(시트 형식)과 내부 규칙(템플릿 설정)을 각각 조정할 수 있다.

2. AutoCAD 도곽 불러오기

솔리드웍스SOLIDWORKS 2D 도면양식 템플릿 만들기 쉽게 따라하기 1

많은 사용자가 기존 AutoCAD에서 만든 도곽을 그대로 활용한다.

솔리드웍스SOLIDWORKS 2D 도면양식 템플릿 만들기 쉽게 따라하기 2
  1. 파일 > 열기(Open) 메뉴에서 .dwg 파일을 선택한다.
  2. 변환 마법사에서 단위, 용지 크기, 문서 템플릿을 지정한다.
  3. “선 두께 유지 여부”를 선택해 원본 도면의 가시성을 유지하거나 단순화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AutoCAD 도면이 SOLIDWORKS 환경에 맞게 변환된다. 불필요한 객체는 삭제하고 필요한 부분만 정리하자.

3. 도곽 편집 및 고정

변환된 도곽은 위치가 맞지 않거나,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솔리드웍스SOLIDWORKS 2D 도면양식 템플릿 만들기 쉽게 따라하기 4

이럴 땐 시트 형식 편집(Edit Sheet Format)으로 진입해 정리한다.

솔리드웍스SOLIDWORKS 2D 도면양식 템플릿 만들기 쉽게 따라하기 5

모든 요소를 선택 후 삭제하고, 다시 블록 삽입(Block Insert)으로 도곽을 불러온다.

좌측 하단 모서리를 (0,0) 좌표에 맞추고 고정(Fix) 명령으로 위치를 고정하면 정확하게 자리 잡힌다.

4. 시트 형식 저장하기 (*.slddrt)

솔리드웍스SOLIDWORKS 2D 도면양식 템플릿 만들기 쉽게 따라하기 7

도곽이 완성됐다면 파일 > 시트 형식 저장(Save Sheet Format)을 선택해 저장한다.

프로젝트 환경에 맞게 A3, A4, A2 등 다양한 규격으로 시트를 만들어두면 편리하다.
저장된 시트 형식은 나중에 여러 도면에서 반복 사용 가능하다.

5. 도면 템플릿 저장하기 (*.drwdot)

이제 기본 설정을 포함한 템플릿을 저장할 차례다.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Save As)을 선택하고 파일 형식을 SolidWorks Drawing Template(*.drwdot) 로 지정한다.

이 파일에는 치수 단위, 폰트, 각도 표기법, 투상법 등 도면 전반의 규칙이 포함된다.

6. 템플릿과 시트 형식 경로 등록

도면을 새로 만들 때 매번 경로를 찾아 들어가는 번거로움을 피하려면 시스템 옵션에서 기본 경로를 등록해 두는 것이 좋다.

  • 도구 > 옵션 > 시스템 옵션 > 파일 위치 > 문서 템플릿(Document Templates)
  • 파일 위치 > 시트 형식(Sheet Formats)

이 두 경로를 지정해두면, 새 도면을 생성할 때 내가 만든 양식을 바로 불러올 수 있다.

효율적인 설계를 위한 팁

도면 템플릿을 만들 때 회사 로고, 작성자 정보, 도면번호 등을 속성으로 연결해두면 문서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여러 프로젝트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네트워크 경로 대신 로컬 폴더에 백업본을 두는 것이 안전하다

솔리드웍스 2D 도면 템플릿을 직접 만들어두면 단순히 시간을 절약하는 수준을 넘어, 도면의 품질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처음엔 다소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 만들어두면 이후 프로젝트마다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투자할 가치가 충분하다.
정리하자면,

  • 시트 형식은 도면의 틀
  • 템플릿은 도면의 규칙
    이 두 가지를 구분해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솔리드웍스의 장점은 바로 이런 ‘표준화된 설계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이번 기회에 자신만의 도면 템플릿을 만들어, 효율적이고 깔끔한 설계 워크플로우를 완성해보자.

FAQ

솔리드웍스 도면 템플릿과 시트 형식을 따로 저장해야 하는 이유는 뭔가요?

두 파일은 역할이 다르기 때문이다. 템플릿(.drwdot)은 도면의 단위, 투상법, 치수 표기, 폰트 등 내부적인 규칙을 정의하는 반면 시트 형식(.slddrt)은 도곽, 표제란, 로고처럼 도면의 외형을 담당한다.

이 둘을 분리해두면 시각적 레이아웃을 유지하면서도 다른 규격의 도면 규칙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AutoCAD 도면을 불러올 때 라인이나 문자 위치가 어긋나는 이유는?

AutoCAD와 솔리드웍스의 좌표 기준과 폰트 호환성 차이 때문이다.

DWG를 불러올 때 변환 마법사에서 “단위 자동 감지”를 활성화하고, AutoCAD 내에서 표준 폰트(예: Arial, Simplex)로 저장하면 어긋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불러온 후에는 시트 형식 편집 모드에서 세부 위치를 조정하면 된다.

회사 전용 로고나 텍스트를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나요?

가능하다. 시트 형식에 삽입된 텍스트를 “속성 링크(Note Link)” 기능으로 연결하면, 도면 작성자나 프로젝트명 등의 정보를 문서 속성에서 자동으로 불러온다.

예를 들어 “SW-Author” 속성을 작성자 이름에 연결해두면 도면을 생성할 때마다 자동 입력된다.

여러 크기의 용지(A3, A4 등)를 하나의 템플릿으로 관리할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는 크기별로 시트 형식을 따로 저장해야 한다.

하지만 도면 생성 후 “시트 속성 변경(Change Sheet Properties)” 기능을 사용하면, 다른 크기의 시트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도곽의 비율이 맞지 않을 수 있으니, 동일한 비율의 템플릿 세트를 미리 만들어두는 것이 좋다.

시트 형식을 수정했는데 기존 도면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유가 뭔가요?

시트 형식은 도면이 생성될 때 한 번만 로드된다.

기존 도면에 변경 내용을 적용하려면, 시트 형식 다시 불러오기(Replace Sheet Format)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이 기능은 기존 도면의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최신 도곽으로 갱신할 수 있다.

도면 템플릿을 다른 PC나 팀원에게 공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시트 형식도면 템플릿 파일을 모두 공유 폴더에 저장하고, 팀원들의 시스템 옵션 > 파일 위치에 해당 경로를 등록하면 된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파일 경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폴더명을 한글 대신 영문으로 설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도면 템플릿 안에 표준 주석(예: 공차, 표면거칠기)을 포함시킬 수 있나요?

가능하다. 템플릿 작성 시 기본 도면에 자주 사용하는 주석 심벌을 삽입하고, 이를 ‘시트 형식 편집’ 상태에서 저장하면 된다. 이후 새 도면을 만들면 해당 주석이 기본으로 포함되어 반복 입력할 필요가 없다.

템플릿 파일이 보이지 않거나 불러오지 못할 때 해결 방법은?

대부분 파일 경로 설정 누락이 원인이다.

  1. 도구 > 옵션 > 시스템 옵션 > 파일 위치 메뉴로 이동
  2. 문서 템플릿(Document Templates)과 시트 형식(Sheet Formats) 경로를 확인
  3. 올바른 폴더를 다시 지정 후 솔리드웍스를 재시작

이 과정을 거치면 템플릿이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도면의 표제란을 자동으로 채우는 방법이 있나요?

    시트 형식에서 표제란 텍스트를 “속성 연결(Custom Property)”로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파트나 어셈블리의 속성값(예: 소재, 도번, 작성일)을 표제란에 연결하면 도면을 생성할 때 자동으로 채워진다. 회사 표준 정보를 자동 반영할 때 매우 유용하다.

    템플릿을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가능하다.

    SOLIDWORKS 2025 이후 버전에서는 3DEXPERIENCE 플랫폼이나 PDM 시스템과 연동해 템플릿 파일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 저장하면 팀 전체가 동일한 도면 규격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버전 관리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