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G NX 시트메탈 Sheet Metal – 탭 플랜지 절곡 1강

UG NX 시트 메탈 Sheet Metal 플랜지 기능

NX의 판금이라고 하는 시트메탈 SheetMetal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용어설명
연신율 (Elongation)재료가 파손되지 않고 늘어날 수 있는 최대 비율을 나타냅니다. 판금 설계 시 굽힘 특성에 영향을 줍니다.
굽힘 반경 (Bend Radius)판금을 굽힐 때의 최소 반경으로, 재질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지나치게 작은 반경은 재료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굽힘 릴리프 (Bend Relief)판금 모서리나 가장자리를 굽힐 때 발생하는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된 여유 공간입니다.
펼침 (Flat Pattern)굽힘을 고려하지 않고 판금 부품을 평면으로 펼친 형태로, 제조 시 필요한 판금의 크기를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두께 (Thickness)판금의 두께를 나타내며, 설계 시 고정된 값으로 설정하여 다른 판금 특성과 함께 조정됩니다.
코너 릴리프 (Corner Relief)코너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릴리프 형태로, 다양한 모양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재질 속성 (Material Properties)판금 설계에서 사용할 재질의 특성(연신율, 밀도, 두께 등)을 나타내며, 굽힘 및 기타 연산에 영향을 줍니다.
굽힘 보정 (Bend Allowance)굽힘으로 인해 길이와 각도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추가하는 길이입니다.
키 형상 (Louver)환기나 냉각을 위해 판금에 추가되는 슬롯 모양의 구조로, 보통 통풍 및 장식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플랜지 (Flange)판금의 가장자리 부분을 굽힌 구조로, 부품의 강도와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시트메탈은 기본적으로 철판을 휘어서 제품을 만드는 방식으로 일반 모델링에서 작업하는 거보다 시트메탈 기능을 이용해서 설계하게 되면 재질의 두께와 특징을 토대로 제품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UG NX 시트메탈 Sheet Metal - 탭 플랜지 절곡 1강
UG NX Sheet Metal – 탭 플랜지 절곡 1강

그리고 이렇게 설계된 데이터를 나중에 철판으로 피는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한 기능입니다

Sheet Metal 변경하기

기본적으로 시트메탈을 작업하기 위해서는UG NX10 Sheet Metal 모드로 변경해야 합니다.

시트메탈 기능설명
Elongation (연신율)재료가 파손되지 않고 늘어날 수 있는 최대 비율
Bend Radius (굽힘 반경)판금을 굽힐 때의 최소 반경으로, 재질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Bend Relief (굽힘 릴리프)판금 모서리나 가장자리를 굽힐 때 발생하는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된 여유 공간
Flat Pattern (펼침)굽힘을 고려하지 않고 판금 부품을 평면으로 펼친 형태
Thickness (두께)판금의 두께를 나타내며, 설계 시 고정된 값으로 설정
Corner Relief (코너 릴리프)코너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릴리프 형태
Material Properties (재질 속성)판금 설계에서 사용할 재질의 특성(연신율, 밀도, 두께 등)을 나타냅니다.
Bend Allowance (굽힘 보정)굽힘으로 인해 길이와 각도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추가하는 길이입니다.
Louver (키 형상)환기나 냉각을 위해 판금에 추가되는 슬롯 모양의 구조
Flange (플랜지)판금의 가장자리 부분을 굽힌 구조로, 부품의 강도와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Home – Sheet Metal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 + Shift + M 눌러줍니다.

판금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스케치로 기본형상을 그려줌으로써 시작합니다.

Tap 탭

스케치한 데이터를 벡터 방향으로 두께 값만큼 도출시켜주는 기능으로 기본적인 특징 형상을 만들거나 평면형 면에 재료를 추가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델링의 익스트로드 기능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Flange 플랜지

이렇게 만들어진 면에 플랜지 기능을 이용하면 선택된 엣지의 면이 굽혀집니다.

선택된 면이 플랜지 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Width Option을 변경해주면 옵션 값에 따라 변형됩니다.

From End로 설정하게 되면 좌우 비대칭으로 플랜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Length에 수치를 입력하면 보는 것과 같이 거리 값을 더 늘릴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각도 앵글 등을 수정할 수 있으며 시트메탈의 처음 시작 시 스케치를 그리고 판금을 만들어 플랜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부분을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 UG NX Sheet Metal – MetaForm 판금 펼치기

UG NX Sheet Metal 자주 묻는 질문 (FAQ) + 실무 팁

시트메탈에서 일반 모델링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일반 모델링은 형상 위주 설계에 가깝고, 시트메탈은 ‘절곡 가능한 재료’를 전제로 한 전개 가능한 모델링을 말합니다.

  • 일반 모델은 펼침(Flat Pattern)이 되지 않음
  • 시트메탈은 굽힘 반경, 릴리프, 두께 등이 설계 기준으로 자동 적용됨
실무 팁: 초반부터 Sheet Metal 모드에서 시작해야 나중에 펼침 오류 없이 제조 도면 활용이 가능함

스케치한 프로파일이 Sheet Metal의 Tap 기능으로 안 만들어져요. 왜 그런가요?Tap 기능은 닫힌 2D 스케치만 가능, 오픈된 선(Spline 포함) 또는 교차된 도형은 오류 발생 가능

해결 방법

  • Sketch 도구에서 Analyze → Check Sketch로 교차 여부, 닫힘 상태 확인
  • 필요 시 Trim/Extend로 교차된 스케치 정리

플랜지를 여러 방향으로 한 번에 만들 수 있나요?

가능함. 플랜지 기능에서 여러 엣지를 동시에 선택하면 동일한 파라미터로 플랜지가 생성됨.

실무 팁

  • 각 플랜지마다 다른 조건이 필요할 경우 복사 후 독립 설정 추천
  • 플랜지 각도를 90도에서 자유곡선으로 바꾸려면 Bend Region 제어를 함께 고려해야 함

플랜지 생성 시 찢어지는 오류가 생겨요. 원인은 뭔가요?

대부분 굽힘 반경(Bend Radius)이 재료의 연신율 한계를 초과한 경우 발생

해결 방법

  • Bend Radius ≥ 두께의 1.2배 이상으로 설정
  • 또는 Bend Relief 설정에서 자동 모서리 Relief를 적용

펼침(Flat Pattern)이 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경우 펼침 실패

  • 비정상적인 곡률 연속성(G2 이상) 있는 플랜지
  • 연결되지 않은 시트(Non-Manifold 구조)
  • 잘못된 릴리프 설정

실무 팁

  • 전개 전에는 항상 Analysis → Check Thickness 또는 Check Geometry로 두께와 경계 상태 점검
  • 특히 Corner Relief를 잊으면 전개에서 찢어짐이 생김

펼침 시 중심선이 이상하게 나와요. 수정 가능한가요?

가능해. Flat Pattern 생성 시 “Neutral Factor” 값Bend Allowance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중심선 위치나 전체 전개 길이에 오차 발생

해결 방법:

  • Preferences → Sheet Metal → Neutral Factor 확인
  • 표준 K-Factor 또는 Bend Table 설정 권장 (회사 내표 또는 ASTM 권장값 사용)

실무에서 자주 쓰는 실전 기능은 어떤 게 있나요?

기능설명
Dimple오목한 돌출 형상 생성환기구나 강성 보강용
Louver슬롯형 구조물 생성발열 해소 및 장식용
Bead길게 돌출된 선형 강화 형상강성 보강 목적
Bridge Bend절곡된 다리 형태특정 위치에서 고정/지지대 역할
Cutout절단면 처리플라스틱 캡이나 단자 삽입부 설계 시 자주 활용

시트메탈 작업 중 자주 나타나는 오류 코드별 정리

오류 메시지원인해결 방법
“Cannot create flange due to geometry.”엣지 방향이 맞지 않거나 너무 작음엣지 방향 확인, 반경 값 증가
“Flat Pattern failed.”G2 연속 커브 또는 비정상 연결플랜지 간 접선 상태 확인
“Sheet body is not valid.”엣지가 닫혀있지 않음두께 및 닫힌 경계 확인
“Bend relief is missing.”각진 플랜지에 relief 미적용코너 릴리프 추가 설정

추가 용어 및 개념

  • Neutral Factor (중립계수): 굽힘 시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는 이론상의 중립층 위치 비율. 보통 0.3~0.5 사이 사용
  • K-Factor: 중립선 위치를 재료 두께 기준으로 표현한 비율. K = 중립선 위치 / 두께
  • Bend Table: 다양한 굽힘 각도/반경/두께에 따라 길이 보정값을 정리한 표
  • Joggle (조글): 판금의 높이 차이를 만들기 위한 기능, 서로 다른 레벨의 부품 결합 시 활용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