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어 동영상 회전 이동 확대 축소 2등분 분할
Adobe의 동영상 편집프로그램인 프리미어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동영상을 편집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기존에 프리미어 프로젝트 생성 및 동영상을 자르고 붙히고 전환효과 및 렌더링 한 동영상을 내보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노랗목차
이번에는 프리미어 동영상 회전하는 방법으로 보통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영상을 가로 세로로 잘못 촬영되어 회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됩니다.
그리고 동영상의 크기가 시퀀스보다 작을 경우 동영상을 확대 및 축소로 크기를 변경해서 한 화면에 2개의 동영상을 보이게 하는등 분할 인코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강의는 프리미어 CC 2020 버전으로 진행되며 프리미어 CC 2019 나 프리미어 CC 2018도 모두 사용방법은 동일니다.
프리미어 동영상 회전 및 이동
동영상을 이동 및 확대를 하기 위해서는 우측상단에 있는 영상의 이미지를 더블클릭합니다.
그럼 포토샵에서 스케일을 바꾸듯이 사방에 확대할 수 있게 되는데 테두리를 잡고 드래그를 해주면 해당방향으로 동영상이 확대가 됩니다.
- 그리고 동영상을 클릭후 드래그를 하면 동영상이 이동이 됩니다.
- 만약 위 방법으로 안된다면 수동으로 작업해야합니다.
프리미어 상단에 있는 편집탭을 선택 후 밑에 있는 기능중에서 효과컨트롤을 선택합니다.
그럼 왼쪽에 비디오 탭에서 위치 및 비율조정 회전등 다양한 기능이 보이며 위치에 있는 숫자를 클릭해 숫자를 입력해주면 입력해주는 방향으로 위아래 이동이 됩니다.
비율조정을 선택후 동영상의 크기의 %를 입력하면 좌우 균일하게 동영상이 확대 및 축소가 됩니다.
만약 좌우다르게 동영상의 크기를 변경하고 싶다면 균일 비율 체크해제합니다.
그럼 동영상의 높이와 폭을 따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단에 있는 회전을 이용하면 동영상을 간단하게 회전시킬수 있습니다.
만약 동영상을 확대하거나 이동등을 하는데 기준점이 이상하다면 기준점 탭을 선택 후 +마크를 동영상을 중심에 위치하도록 합니다.
동영상을 투명하게 하고 싶다면 불투명도를 이용해 %낮추면 동영상이 투명하게 됩니다.
불투명도를 낮추고 타임라인에 있는 동영상을 위에 오버랩 시키면 투명한 동영상과 함게 나오느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포토샵에서 제공하는 혼합모드를 이용하면 다양한 동영상 혼합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동영상 2등분 분할방법
이렇게 동영상을 축소 확대 및 이동기능을 이용하면 한 화면에 동영상을 두개나 네개씩 한번에 보이게 2등분 4등분등을 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을 보는것과같이 축소시켜서 동시에 두개의 영상을 보이게 설정합니다.
영상과 영상 사이에 경계선이 없는 부분은 색상메트를 통해 경계면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우클릭 후 새 항목 -> 색상매트 선택합니다.
색상메트의 사이트를 폭,높이를 지정합니다.
그리고 생삭메트의 색상을 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알아보기 쉽게 이름을 정합니다.
다음 보기와 같이 영상 사이에 넣어주면 영상이 깔끔하게 정리가 됩니다.
이상 프리미어 동영상 회전 및 이동 확대 축소방법 및 한 화면에 동영상을 동시에 2개 4개등 분할하여 작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프리미어 회전·확대·분할 관련 설정값 요약표
기능 | 설정 위치 | 권장 설정값 | 설명 및 활용 팁 |
---|---|---|---|
회전(Rotation) | 효과 컨트롤 → 모션 → 회전 | 90°, 180°, -90° | 스마트폰 세로 촬영 영상 방향 수정 시 사용. 반시계 방향은 음수(-) 입력 |
위치(Position) | 효과 컨트롤 → 모션 → 위치 | 1920×1080 기준: 중앙(960, 540) | 좌우 이동 시 X값 조정, 상하 이동 시 Y값 조정 |
비율(Scale) | 효과 컨트롤 → 모션 → 비율 | 기본 100% / 확대 120~150% / 축소 50~80% | 영상 크기 조절. 균일 비율 해제 시 가로·세로 별도 조정 가능 |
기준점(Anchor Point) | 효과 컨트롤 → 모션 → 기준점 | 영상 해상도 중심값과 동일하게 설정 | 회전 중심 조절. 영상이 한쪽으로 돌아갈 때 중심 재조정 |
불투명도(Opacity) | 효과 컨트롤 → 불투명도 | 30~70% | 투명 효과 및 영상 오버레이 시 자연스러운 중첩 구현 |
혼합 모드(Blend Mode) | 효과 컨트롤 → 불투명도 하단 메뉴 | Screen, Overlay, Multiply | 두 영상 겹칠 때 자연스러운 밝기·색상 효과 연출 가능 |
색상 매트(Color Matte) | 새 항목 → 색상 매트 | 프로젝트 해상도와 동일 / 원하는 색상 지정 | 분할 영상 사이 경계선 또는 배경 컬러 추가 |
2분할 화면 | 영상 2개 배치 / 위치 값 수정 | 좌측 영상: (480,540), 우측 영상: (1440,540) | 한 화면에 두 영상 나누어 배치할 때 사용 |
4분할 화면 | 영상 4개 배치 / 크기 50%, 위치 조정 | 좌상단(480,810), 우상단(1440,810), 좌하단(480,270), 우하단(1440,270) | 동시에 4개의 영상 재생, 인터뷰나 비교 영상에 활용 |
세로 영상 시퀀스 설정 | 시퀀스 설정 → 프레임 크기 | 1080×1920 | 인스타 릴스, 유튜브 쇼츠 등 세로 영상 제작 시 필수 설정 |
프리미어 색상 매트 및 배경 설정값 표
용도 추천 색상 (RGB 기준) 투명도(Opacity) 경계선 두께(px) 활용 팁 2분할 화면 경계선 흰색 (255,255,255) 또는 회색 (180,180,180) 100% 8~12px 두 영상 사이 구분선. 얇게 넣으면 세련된 느낌, 두껍게 넣으면 확실한 대비 4분할 화면 경계선 검은색 (0,0,0) 또는 진회색 (50,50,50) 80~100% 5~10px 전체 화면 구분 시 중앙 십자 형태. 영상 색상이 밝을수록 어두운 라인이 효과적 제품 비교용 분할선 브랜드 포인트 컬러 사용 (예: 255,60,80) 100% 6~8px 두 영상 비교 시 시각적으로 브랜드 컬러를 강조 가능 영상 배경 컬러 (하단 매트) 어두운 회색 (30,30,30) 또는 네이비 (20,30,50) 100% 없음 두 영상의 화면 비율이 다를 때 배경으로 깔아주면 자연스럽게 통일 밝은 영상용 배경 연회색 (220,220,220) 또는 베이지 (240,230,210) 100% 없음 배경이 어두운 영상 대비 시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 연출 투명 오버레이 효과용 흰색 또는 검정색 (0,0,0) 30~50% 없음 영상 위 반투명 레이어로 시각적 깊이감 연출 하이라이트 강조용 매트 노란색 (255,210,0) 또는 청록색 (0,210,180) 80~90% 3~6px 인터뷰나 제품 포인트 영역 강조 시 사용 자막 또는 그래픽 하단 매트 검은색 (0,0,0) 70~80% 없음 자막 대비도를 높이고 텍스트 가독성을 높임 SNS 세로 영상 배경 흰색 (255,255,255) 또는 연회색 (245,245,245) 100% 없음 세로형 영상 좌우 빈공간 채움용, 릴스·쇼츠 제작 시 활용 브랜드 영상 톤 통일용 브랜드 컬러 계열 (예: 0,120,255 / 255,80,0 등) 100% 없음 콘텐츠 전반에 브랜드 색을 반복 사용해 통일감 부여 프리미어에서 색상 매트(Color Matte) 기능을 활용하면 단순히 영상 사이 구분선을 만드는 것뿐 아니라, 전체 영상 톤을 통일하거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분할 영상 작업 시에는 각 영상의 밝기나 색조가 다를 경우 배경 매트를 추가해 전체 톤을 균형 있게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밝은 영상은 어두운 경계선으로, 어두운 영상은 밝은 색상으로 대비를 주면 훨씬 깔끔하고 정돈된 느낌을 줍니다.
또한 Opacity(투명도)를 적절히 활용하면,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디자인적인 “레이어 효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영상 위에 반투명한 흰색 매트를 올리면 영상이 한층 부드러워지고, 검정 매트를 얹으면 집중도가 높아져 인터뷰나 제품 리뷰 영상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프리미어가 어렵다면 다른 프로그램은?
프리미어가 조금 어렵게 느껴진다면 비슷한 기능을 훨씬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또는 간편 편집 툴들도 있습니다.
특히 단순히 영상을 회전하거나 크기를 조절하는 정도라면 굳이 프리미어처럼 무거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필요 없이
모바일 앱이나 웹 기반 프로그램으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바비(Movavi Video Editor)나 캡컷(CapCut)은 영상 회전, 자르기, 확대/축소, 분할화면 같은 기능을 프리미어보다 훨씬 직관적으로 제공합니다.
특히 캡컷은 드래그만으로도 화면을 회전하거나 비율을 변경할 수 있고, 한 화면에 여러 영상을 배치하는 스플릿(Screen Split) 기능도 내장되어 있어 초보자도 쉽게 다룰 수 있습니다.
또한 클립챔프(Clipchamp)나 Canva Video Editor 같은 웹 기반 툴도 최근 인기가 높습니다.
이들은 별도의 설치 없이 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되고, 회전이나 크기 변경뿐 아니라 간단한 자막, 색상 필터, 전환 효과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만약 포토샵을 이미 사용 중이라면, 포토샵 타임라인 기능을 활용해 짧은 영상의 회전이나 비율 조정 정도는 충분히 가능하며 GIF나 짧은 클립 영상 편집 시에는 오히려 더 빠르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즉, 영상 편집의 목적이 단순 회전·비율 조정·분할 화면 구성 정도라면 프리미어보다 가벼운 툴을 병행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자막, 컬러보정, 다중 오디오 조정까지 필요한 프로젝트라면 결국 프리미어 프로의 정교함과 호환성이 큰 장점이 되죠.
FAQ
프리미어에서 영상 회전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회전 값이 고정되어 있는 트랜스폼(Transform) 효과가 이미 적용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기존 트랜스폼을 삭제하거나 효과컨트롤 → 모션(Motion) 탭에서 직접 회전 값을 수정하면 정상적으로 회전이 가능합니다.
회전 방향이 반대로 적용될 때는 어떻게 하나요?
회전 각도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나뉩니다.
예를 들어 90도 회전 시 영상이 반대로 뒤집히면, 값을 -90으로 입력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세요.
프리미어 영상 크기를 확대하면 화질이 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원본 영상의 해상도보다 시퀀스 해상도가 높은 경우 발생합니다.
이럴 땐 **시퀀스 설정 → 프레임 크기(Frame Size)**를 원본 영상과 동일하게 맞추거나,
고해상도 소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 화면에 두 개의 영상을 넣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두 개의 클립을 타임라인에 서로 다른 비디오 트랙(V1, V2)에 배치하고, 각각의 효과컨트롤 → 모션 → 위치(Position) 값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됩니다.
추가로 비율(Scale) 값을 조절하면 화면 크기를 나누는 분할 구성이 가능합니다.
영상 사이에 경계선(라인)을 넣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색상 매트(Color Matte)를 활용하면 깔끔한 경계선을 만들 수 있습니다.
새 항목 → 색상 매트 → 폭과 높이 지정 → 색상 선택 → 타임라인 중앙에 삽입하면 두 영상 사이를 자연스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영상 회전 후 중앙 기준이 맞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효과컨트롤 → 기준점(Anchor Point) 값을 영상의 중심 좌표로 변경하세요.
기준점을 가운데로 이동시키면 회전 중심이 정확히 맞아 자연스럽게 회전됩니다.
동영상을 세로로 회전시켜 인스타 릴스나 쇼츠용으로 만들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시퀀스 설정(Sequence Settings)에서 프레임 크기를 1080×1920(세로형)으로 변경하면,
스마트폰 전용 세로 영상 형태로 회전·출력할 수 있습니다.
투명 효과를 주고 영상 두 개를 겹치려면 어떻게 하나요?
하단에 깔릴 영상은 그대로 두고, 위쪽 영상의 불투명도(Opacity) 값을 50~70% 정도로 낮추면 됩니다.
또는 혼합 모드(Blend Mode)를 Screen이나 Overlay로 설정하면 자연스러운 겹침 효과가 납니다.
영상 크기를 좌우 또는 위아래로만 조정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균일 비율(Uniform Scale) 체크를 해제하면 됩니다.
이후 가로 세로 값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특정 방향으로만 늘리거나 줄이는 편집이 가능합니다.
확대된 영상이 화면 밖으로 잘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효과컨트롤 → 위치(Position) 값을 조정해 프레임 안쪽으로 이동시키면 됩니다.
또한, 안전 영역(Safe Margin)을 켜두면 출력 시 잘리는 부분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