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Link 공유기 관리자 메뉴 ‘연결 거부됨’ 오류 해결과 설정
TP-Link 공유기 관리자 메뉴 ‘연결 거부됨’ 오류 해결과 설정방법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TP-Link 공유기는 성능과 안정성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설정하거나 관리자 메뉴에 접속할 때 연결 거부됨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노랗목차
기본 접속 방법과 설정 절차를 이해하면 이런 문제는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TP-Link 관리자 메뉴 접속 및 공유기 설정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TP-Link 공유기 접속 준비
TP-Link 공유기의 관리자 페이지는 인터넷 연결이 없어도 접속 가능한 내장형 웹 서버입니다.
다만 PC나 스마트폰이 해당 공유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방법 1: 유선 연결
이더넷 케이블을 PC의 LAN 포트와 공유기의 LAN 포트 중 하나에 연결합니다.
방법 2: 무선 연결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TP-Link 공유기의 Wi-Fi 네트워크에 연결합니다.
처음 연결하는 경우 공유기 라벨에 표시된 기본 Wi-Fi 이름(SSID)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관리자 페이지 접속
추천 브라우저는 Chrome, Firefox, Edge입니다.
주소창에 아래 주소 중 하나를 입력하세요:
- http://tplinkwifi.net
- http://192.168.0.1
- http://192.168.1.1 (일부 모델)
만약 보안 경고 페이지가 뜨면, 고급 → 계속 진행(unsafe)을 클릭해 접속하세요.
TP-Link는 자체 서명 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로그인 정보
– 일부 모델: ID: admin / PW: admin
– 최신 모델: 최초 접속 시 관리자 비밀번호를 새로 설정해야 합니다.
– TP-Link ID를 등록한 경우: TP-Link 계정 정보로 로그인
연결 거부됨 오류 해결
관리자 메뉴 접속 시 연결 거부됨 오류가 뜬다면 아래 방법을 확인하세요.
1. 공유기 Wi-Fi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2. 다른 브라우저나 시크릿 모드에서 접속
3. 브라우저 캐시 삭제
4. 게이트웨이 주소를 다시 확인 (ipconfig 또는 네트워크 설정 메뉴에서 확인 가능)
5. 그래도 접속이 안 되면 Reset 버튼(약 10초)을 눌러 공장 초기화 후 기본 주소로 재접속
TP-Link 공유기 비밀번호 및 Wi-Fi 설정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면 상단 메뉴에서 고급 → 시스템 → 관리로 이동해 로그인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선 설정 탭에서 Wi-Fi 이름(SSID)과 비밀번호를 원하는 값으로 지정하세요.
보안을 위해 WPA2-PSK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 기능 USB 포트를 활용한 홈 서버
일부 TP-Link 공유기는 USB 포트를 제공합니다. 여기에 외장 하드디스크나 USB 메모리를 연결하면 간단한 NAS처럼 쓸 수 있습니다.
설정 메뉴의 USB → 저장소 공유 항목에서 접근 권한을 설정해 여러 기기에서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정리
TP-Link 공유기에서 관리자 메뉴 접속이 안 되고 연결 거부됨 오류가 뜬다면, 우선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세요. 브라우저 캐시 삭제와 다른 브라우저 시도만으로도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안 된다면 공장 초기화를 통해 기본 주소(tplinkwifi.net 또는 192.168.0.1)로 다시 접속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후 관리자 비밀번호와 Wi-Fi 설정을 새로 지정해 안전하게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