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출력 품질 높이는 방법과 플롯 설정 및 CTB와 STB 차이

오토캐드에서 도면 작업은 단순히 작성에 그치지 않고, 최종 출력까지 완성도가 이어져야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출력 결과물이 흐리거나 선 굵기가 제각각이면 도면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작업 효율도 낮아집니다. 출력 품질을 높이려면 플롯 설정과 플롯 스타일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출력 품질을 좌우하는 플롯 설정

도면 출력 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부분은 해상도(DPI), 용지 크기, 배율, 투명도 옵션입니다.

잘못 설정하면 출력물이 흐리게 나오거나 비율이 맞지 않게 됩니다.

다음은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본 설정 값 예시입니다.

설정 항목권장 값 / 옵션설명
해상도(DPI)300DPI (일반) / 600DPI 이상 (정밀도면)값이 높을수록 선명하지만 파일 용량 증가
배율(Scale)1:1 (실제 크기) 또는 도면 요구 비율‘맞춤 출력(Fit to paper)’은 피하는 것이 안전
투명도 출력(Transparency)활성화(ON)객체에 투명도가 적용된 경우 반드시 체크
출력 미리보기항상 확인선 굵기, 여백, 색상 적용 여부를 사전 확인

출력 품질을 높이려면 우선 플롯 설정에서 용지 크기, 해상도(DPI), 출력 배율을 세심하게 조정해야 합니다.

오토캐드 출력 품질 높이는 방법과 플롯 설정 및 CTB와 STB 차이 2

일반적인 사내 프린터에서는 300DPI로도 충분하지만, 선이 얇거나 글자가 작은 도면은 600DPI 이상으로 지정하면 훨씬 또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해상도를 지나치게 높이면 파일 용량이 커지므로 출력 환경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하나 중요한 부분은 투명도 인쇄 옵션입니다.

오토캐드에서 객체의 투명도를 적용했더라도 기본 설정에서는 출력 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플롯 대화상자에서 ‘Plot transparency’를 활성화해야만 실제 출력물에 원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출력 스타일의 선택 또한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CTB(Color-dependent Plot Style)는 색상에 따라 선 굵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으로, 흑백 도면 출력 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빨강은 0.3mm, 파랑은 0.5mm와 같이 색상별로 미리 지정된 굵기가 적용되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관리하기 쉽습니다.

반면 STB(Named Plot Style)는 레이어나 객체별로 개별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어 색상과 선 굵기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습니다.

오토캐드 출력 품질 높이는 방법과 플롯 설정 및 CTB와 STB 차이 2

하지만 도면마다 스타일을 일일이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협업 환경에서는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CTB와 STB의 차이와 실제 출력 시 영향

오토캐드에서 플롯 스타일은 크게 CTB(Color-dependent Plot Style)와 STB(Named Plot Style)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CTB는 색상에 따라 선 굵기를 자동 적용합니다. 예: 빨강(0.3mm), 파랑(0.5mm). 흑백 출력이 많은 제조·건축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STB는 레이어별, 객체별로 개별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 “두꺼운선”, “얇은선”과 같이 이름으로 관리.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지만 관리가 번거롭습니다.
구분CTBSTB
적용 방식색상별 선 굵기 지정레이어/객체별 스타일 지정
장점직관적, 예측 가능한 출력 결과세밀한 제어 가능, 컬러/굵기 자유롭게 설정 가능
단점색상 규칙을 변경하기 어렵고 제한적임협업 시 결과 불일치 발생 가능, 설정 관리가 복잡함
활용 예흑백 출력, 단순하고 일관된 도면 관리에 적합특정 프로젝트에서 세부적으로 선 스타일을 달리해야 할 때 적합

출력 차이 발생 이유

실제 출력 시 CTB와 STB의 차이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관리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되는데 CTB는 동일한 색상 규칙이 전체 도면에 일괄 적용되기 때문에 선 굵기나 출력 결과가 예측 가능하고 일정합니다.

반대로 STB는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지정한 스타일에 의존하기 때문에 동일한 도면이라도 다른 컴퓨터에서 출력할 때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나 팀 차원에서 통일된 기준을 정하지 않으면 같은 도면이라도 선이 다르게 나오거나 컬러가 의도와 다르게 표현되는 문제가 생깁니다.

출력 품질을 높이는 핵심 체크리스트

  1. 해상도 조정 – 선명도가 필요한 경우 DPI를 600 이상으로 설정
  2. 플롯 미리보기 확인 – 출력 전 여백, 선 굵기, 스케일을 반드시 검토
  3. 투명도 옵션 활성화 – 디자인 요소가 반영되도록 체크
  4. CTB/STB 선택 기준 – 협업 환경이면 CTB, 개별 작업은 STB 활용
  5. 폰트 관리 – 설치되지 않은 글꼴은 대체되므로 반드시 도면에 맞는 폰트 설치

마무리

오토캐드 출력 품질은 단순히 장비 성능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플롯 설정과 스타일 관리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작은 차이가 도면의 전문성과 가독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CTB와 STB의 차이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설정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품질 개선 방법입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