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방화벽 해제 포트열기 –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차단
컴퓨터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 된 PC간의 방화벽으로 인해 특정 포트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UG NX의 경우 28000 Port를 사용하는데 이 포트가 방화벽에 막혀 있다면 라이센스를 제대로 가져오지 못합니다. 이와 비슷한 이유로 고가의 Cad Cam의 네트워크 라이센스를 제대로 가져오지 못하거나 네트워크 공유폴더,네트워크 공유프린터 등이 인식되지 않는다면 해당 포트를 열어 업로드와 다운로드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방화벽 해제합니다.
노랗목차
반대로 방화벽 포트열기를 통해 해제할 수 있지만 해당 특정포트나 해당 프로그램을 방화벽을 통한 차단설정을 별도로 설정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방화벽 해제 끄기설정
윈도우 검색창에 보안을 입력 후 Windows 보안 앱을 실행합니다.
Windows 방화벽 활성화하거나 끌 수 있으며 이렇게 방화벽을 해제하더라도 특정포트는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 서버 PC라면 별도의 포트를 해제해야 합니다.
윈도우 보안을 위해서는 윈도우디펜터와 방화벽을 모두 활성화합니다.
하지만 일부 Ping 접속이 되지 않아 업로드 및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다면 테스트를 위해 잠시 해제합니다.
방화벽으로 인해 업로드 다운로드 차단 연결확인 명령어
개별 앱 방화벽 해제
모든 프로그램을 방화벽 끄기가 불안하다면 문제가 되는 프로그램만을 개별 선택해서 방화벽 끄기가 가능합니다.
방화벽에서 앱 허용 선택 후 원하는 프로그램을 체크해서 방화벽을 해제합니다.
설치형이 아닌 라이센스 서버 CMD, TXT, EXE 등의 파일이라면 다른 앱 허용을 선택 해 수동으로 추가합니다.
방화벽 포트해제 –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Windows 보안 -> 방화벽 및 네트워크 보호 -> 고급설정
위 방법으로도 라이센스등이 동기화 되지 않는다면 고급보안설정을 통해 특정 포트를 열거나 프로그램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라이센스 오류 참고
오토캐드 네트워크 라이센스 오류 – FlexNet License Finder
솔리드웍스 2020 설치 및 네트워크 라이센스 정품인증
UG NX 라이센스 오류 번들오류 해결 NX License Error
인바운드 규칙과 아웃바운드 규칙 2가지가 있으며 각각에 대한 규칙을 프로그램, 포트등을 추가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인바운드(Inbound) | 아웃바운드(Outbound) |
---|---|
외부에서 내부로 데이터가 들어옴 서버 내부로 들어오는 것 서버 또는 네트워크 내부로 들어옴 클라이언트 -> 서버로 들어옴 클라이언트 PC에서 업로드 ※인바운드 규칙 – Windows 방화벽 기본 설정 : 모든 접속 차단 – 자신의 컴퓨터로 들어오기 시작하는 네트워크 데이터 | 내부에서 외부를 데이터가 나가는것 서버 외부로 들어오는 것 서버 또는 네트워크 외부로 이동 서버 -> 클라이언트 이동 클라이언트 PC에서 다운로드 ※아웃바운드 규칙 – Windows 방화벽 기본 설정 : 모든 접속 허용 – 자신의 컴퓨터에서 나가기 시작하는 네트워크 데이터 |
이때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모두 동일하게 포트를 해제해야 합니다.
인바운드 규칙 선택 후 새규칙을 눌러줍니다.
방화벽해제는 크게 2가지로 가능합니다.
- 프로그램 방화벽 해제
- TCP / UDP 포트 해제
프로그램 방화벽 해제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방화벽 해제할 프로그램 경로를 지정합니다.
별도의 프로그램이 아닌 모든 프로그램을 해제하고 싶다면 모든 프로그램 규칙을 선택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서 방화벽을 허용할것인지 차단할것인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방화벽 연결허용
- 보안 연결만 허용
- 방화벽 연결차단
도메인과 개인, 공용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허용합니다.
마지막으론 해당 규칙을 본인이 알아보기 쉽도록 이름을 적어줍니다.
TCP / UDP 포트 해제
표제의 방화벽 포트해제하기 위해서는 TCP / UDP 선택합니다.
프토토콜 종류 | TCP | UDP |
---|---|---|
연결방식 | 연결형 서비스 | 비연결형 서비스 |
패킷 교환방식 | 가산회선 방식 | 데이터그램 방식 |
전송 순서 | 전송순서 보장 | 전송순서 바뀔 수 있음 |
수신여부 확인 | 확인 | 불가능 |
통신방식 | 1:1 통신 | 1:1 통신 1:N 통신 N:N 통신 |
신뢰성 | 높음 | 낮음 |
속도 | 느림 | 빠름 |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규약을 인터넷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주소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패킷을 추적 및 관리
UDP : 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규칙으로서 독립적인 관계를 지니는 패킷으로 TCP와 달리 UDP 비 연결형 프로토콜의 특징이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할당되는 논리적인 경로가 없다면 각각의 패킷은 다른 경로로 전송되며 각각의 패킷은 독립적인 관계로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느것을 UDP 규칙
TCP / UDP 2가지에 대한 특정포트 및 모든 로컬포트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UG NX 라이센스 포트를 해제하고 싶다면 28000 포트를 입력합니다.
이후 해당포트를 허용으로 체크하면 방화벽 포트해제가 완료됩니다.
반대로 해당 포트를 차단하고 싶다면 연결차단을 선택합니다.
💡 추가 FAQ – 방화벽 포트 해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오류, 프로그램 차단 관련 자주 묻는 질문
인바운드/아웃바운드 규칙을 해제했는데도 포트가 막힌 것처럼 작동하지 않습니다
일부 보안 솔루션(예: 알약, V3, 카스퍼스키, 윈도우 디펜더)에서 포트나 실행 파일 자체를 차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방화벽 규칙만으로는 해제가 되지 않으며, 해당 보안 프로그램의 실시간 보호에서 예외처리 또는 완전 제거 후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UG NX의 28000 포트를 해제했는데도 라이선스 서버 연결이 안 됩니다
이 경우 UGSLMD 프로세스가 충돌 중이거나, 포트가 중복 할당된 경우가 많습니다.
cmd
에서netstat -aon | find "28000"
입력해 해당 포트를 어떤 PID가 사용 중인지 확인작업 관리자 → 세부 정보 → PID 열
에서 충돌 프로세스를 찾아 강제 종료- Lmtools에서 라이선스 서버를 재시작
TCP 포트를 열었는데도 UDP 연결이 안 됩니다. 반대로도 마찬가지입니다
TCP와 UDP는 서로 다른 규칙이 적용되며, 독립적으로 포트를 해제해야 합니다. TCP 포트만 열면 UDP 연결은 여전히 차단된 상태이며, 동일한 포트를 양쪽 모두 규칙으로 추가해야 합니다.
특히, 라이선스 서버는 UDP 2080, TCP 27000~27009 등을 추가로 요구하기도 합니다.
Windows 서버 2016/2019에서 인바운드 규칙 추가했는데 외부 접속이 안 됩니다
Windows Server에서는 도메인/퍼블릭/프라이빗 네트워크 프로파일 설정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포트 해제 시 세 가지 네트워크 유형에 모두 체크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 새 규칙 생성 시 “도메인, 개인, 공용”에 모두 체크
- 네트워크 프로필 확인: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네트워크 상태 확인
프로그램 차단이 계속 반복됩니다 (예: .exe 자동 삭제됨)
윈도우 디펜더 또는 보안 소프트웨어에서 신뢰할 수 없는 서명/패킹된 파일로 인식해 자동 차단/삭제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 보안 →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 “허용된 위협”에서 복원
- 실시간 보호 잠시 해제 후 수동 등록
- ‘App & Browser Control’ → “SmartScreen” 옵션 비활성화
SMB 프린터나 공유폴더가 방화벽을 통해 차단된 경우 해결 방법은?
공유 기능이 안 될 경우 SMB 프로토콜이 차단되었을 수 있습니다.
방화벽에서 SMB 관련 포트를 인바운드/아웃바운드로 모두 열어야 하며, 다음 포트를 추가하세요:
프로토콜 | 포트 번호 | 설명 |
---|---|---|
TCP | 445 | SMB 직접 연결 |
TCP/UDP | 137-139 | NetBIOS 세션 서비스 |
또한 Windows 기능에서 SMB 1.0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다시 활성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방화벽 설정이 리셋되거나 규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 현상은 보안 정책에 따라 방화벽 설정이 그룹 정책(GPO) 또는 외부 보안 에이전트에 의해 덮어씌워질 때 발생합니다.
gpedit.msc
→ 컴퓨터 구성 → Windows 설정 → 보안 설정 →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 → 규칙 확인- 타사 보안 솔루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해당 소프트웨어에서 방화벽 통제 여부 확인
인바운드 규칙을 만들었는데 외부 연결만 안 됩니다
- 외부에서 접속 시에는 해당 포트가 열려 있는 라우터/NAT 설정도 확인해야 합니다
- 프라이빗 IP로 설정된 컴퓨터라면 공유기 포트 포워딩 설정이 필요
- 네트워크가 공용으로 설정된 경우 내부 접속도 막힐 수 있으므로 프라이빗 네트워크로 변경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