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 리모트 데스크톱 자동접속 완벽 세팅 재부팅, 정전, DPI 차단 설정

회사나 학교 컴퓨터에 접속하려다 막혔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외부 접속을 원천 차단해둔 환경도 많고, VPN조차 안 되는 경우도 적지 않죠. 그런데 꼭 이런 환경일수록 접속해야 할 상황이 자주 생깁니다. 발표 직전 자료를 고쳤는데 클라우드 싱크가 안 됐다든가, 급하게 특정 폴더 안에 있는 파일을 누군가에게 전달해줘야 한다든가.

이럴 때마다 누군가에게 “내 컴퓨터 D 드라이브 안에 ~폴더에 있는 ppt 좀 보내줄래?”라고 부탁하는 것도 반복되면 피로해지죠.

또 요즘은 딥러닝 학습이나 시뮬레이션처럼 장시간 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많은데 결과 확인만 하러 새벽에 출근하는 건 비효율 그 자체입니다. 결국 내가 원할 때 언제 어디서든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게 셋업해두는 게 가장 깔끔하죠.

외부 접속을 위한 핵심 목표

간단합니다.

“언제든, 어디서든, 전원이 꺼져 있어도 원격 접속 가능한 컴퓨터 만들기”

크롬 리모트 데스크톱(CRD)을 예로 들면, 기본적으로 컴퓨터가 켜져 있기만 하면 접속은 매우 간편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죠. 자동 재부팅, 정전, DPI 우회 이슈까지 하나하나 발목을 잡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런 변수들을 하나씩 정리해서, 혼자서도 세팅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크롬 리모트 데스크톱(CRD) 기본 세팅

CRD는 브라우저 기반 원격 접속 툴로, 설치만 해두면 별도의 실행 없이도 로그인만으로 바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네트워크 DPI(딥패킷 검사)로 인해 학교나 회사에서 처음 연결이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아래 방식으로 해결합니다.

DPI 우회: GoodbyeDPI + 자동 실행 세팅

DPI 우회를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도구는 GoodbyeDPI입니다.

문제는 이 프로그램이 기본 상태에선 부팅 시 자동 실행되지 않는다는 점인데요, 이를 시스템 트레이에서 자동 실행되도록 구성해둔 버전이 따로 배포되고 있습니다.

실행 방법 요약

  1. 트레이 등록 가능한 GoodbyeDPI 버전 다운로드
  2. 압축 해제 후 실행 → 설정에서 “시작 시 자동 실행” 체크
  3. 윈도우 로그인 이후 자동 실행되도록 구성됨

💡 단, GoodbyeDPI는 반드시 윈도우 로그인 이후에 실행되므로 로그인 비밀번호를 해제하거나 자동 로그인 설정을 권장합니다.

정전이나 자동 종료에도 대비하고 싶다면?

컴퓨터가 꺼져 있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겠죠. 그럼 이제 ‘컴퓨터 전원이 꺼져도 자동으로 다시 켜지게’ 만들 차례입니다.

1. 정전 후 자동 부팅 (BIOS 설정)

  • BIOS > AC Power Recovery / Restore on AC Power Loss 항목을 ON
  • 이렇게 설정하면 전원 공급이 다시 들어오면 자동으로 부팅됩니다

2. 특정 시간에 자동 부팅 (RTC Alarm 설정)

  • BIOS 메뉴 중 RTC Alarm / Wake on RTC 기능 활성화
  • 날짜는 0으로 설정해 매일 반복, 원하는 시각 입력 (예: 오후 1시 → 13시)
  • 이 설정으로 매일 특정 시간에 컴퓨터가 자동으로 켜지게 됩니다

💡 단, 일부 메인보드에서는 Fast Boot나 윈도우의 빠른 시작 켜기 옵션이 RTC 알람을 무시하는 경우가 있어, 해당 옵션은 꺼두는 것이 좋습니다.

최종 구성 흐름 정리

  1. 크롬 리모트 데스크톱 설치 + 로그인
  2. GoodbyeDPI 자동 실행 버전 설치
    • 윈도우 로그인 이후 DPI 우회 자동 적용
  3. 윈도우 비밀번호 해제 또는 자동 로그인 설정
  4. BIOS에서 전원 복구 시 자동부팅 설정
  5. RTC Alarm 설정으로 매일 특정 시각 자동 ON
  6. (선택) ipTIME 포트포워딩 + DDNS 구성으로 외부 IP 없이도 접속 가능

마무리하며

이런 설정을 해두면, 설령 컴퓨터가 재부팅되더라도 매일 지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켜지고, GoodbyeDPI로 DPI 차단을 우회한 상태에서 CRD도 작동하게 됩니다. 컴퓨터 앞에 없어도, 새벽에 출근 안 해도, 손안에서 회사/학교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거죠.

물론, 회사나 학교 보안 정책상 외부 접속이 엄격히 제한되어 있다면 이 방식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가능한 환경에서 똑똑하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크롬 리모트 데스크톱은 전원이 꺼진 PC에도 접속할 수 있나요?

아니요. 크롬 리모트 데스크톱은 기본적으로 컴퓨터가 켜져 있어야만 접속이 가능합니다.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하며, 이를 해결하려면 BIOS 설정에서 정전 복구 시 자동 부팅 또는 RTC Alarm 설정을 통해 자동 전원 ON을 구성해야 합니다.

크롬 리모트 데스크톱이 설치된 PC가 재부팅 후 접속되지 않는 이유는?

윈도우가 자동 로그인되지 않거나, GoodbyeDPI 같은 DPI 우회 프로그램이 로그인 이후에만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접속이 막힐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자동 로그인 설정과 함께 GoodbyeDPI의 자동 실행 구성을 확실히 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크롬 리모트 데스크톱은 공인 IP 없이도 사용할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 CRD는 구글 계정 로그인 기반이므로 공인 IP 없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원격 접속 방식(mstsc 등)을 병행할 경우, ipTIME 공유기의 DDNS 기능을 활용해 고정 도메인 주소를 설정하면 공인 IP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GoodbyeDPI는 어떤 네트워크에서도 작동하나요?

GoodbyeDPI는 HTTPS 트래픽을 DPI로 차단하는 환경에서 일부 작동합니다. 하지만 학교/기업 내부 방화벽 또는 SSL 검사 우회 설정이 매우 강한 네트워크에서는 작동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VPN 등 다른 방법을 병행하거나, 네트워크 관리자 설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자동 로그인 설정이 보안상 걱정될 땐 어떻게 하나요?

자동 로그인 설정은 보안에 민감한 환경에서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개인 사무실이나 홈랩 환경이라면, 윈도우에 게스트 계정 수준의 계정 분리 또는 작업용 전용 계정 생성 후 자동 로그인 설정을 적용하면 비교적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자동 로그인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netplwiz 명령어를 실행해 사용자 계정에서 로그인 시 암호 입력 해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또는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통해 자동 로그인 기능을 직접 활성화할 수도 있으며, 이 과정은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Fast Boot와 RTC Alarm이 충돌하는 이유는?

일부 메인보드나 윈도우 버전에서는 Fast Boot 기능이 RTC Alarm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이런 경우, BIOS에서 Fast Boot 비활성화와 윈도우 전원 설정에서 빠른 시작 끄기를 병행해야 RTC Alarm이 정상 작동합니다.

CRD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대체 원격 툴은 무엇이 있나요?

기본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mstsc), AnyDesk, TeamViewer, RustDesk, VNC 등이 있습니다.

다만 크롬 리모트 데스크톱은 설치가 간단하고 로그인 기반이라 VPN 없이도 작동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원격 접속 시 컴퓨터가 슬립모드일 경우 어떻게 되나요?

슬립 또는 최대 절전 모드에서는 대부분 원격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전원 관리 설정에서 슬립 진입 방지, 또는 Wake-on-LAN(WOL) 기능을 활용한 원격 부팅 설정을 추천합니다.

윈도우 업데이트로 설정이 초기화될 수 있나요?

가능성 있습니다. 특히 크롬 리모트 데스크톱 서비스나 자동 로그인, GoodbyeDPI 설정 등은 대규모 업데이트 이후 비활성화되거나 제거될 수 있으니, 업데이트 후 반드시 설정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