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모니터 연결 – 윈도우 맥북 신호없음 케이블없음 7가지

디자이너 분들이라면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해 큰 모니터를 사용하느 것이 좋으며 이 경우 1개의 모니터를 사용하더라도 윈도우 + 화살표 단축키로 화면을 나눠 사용할 수 있지만 아무래도 듀얼모니터 연결해서 사용하느 것만 못한것도 있기 때문에 여유가 된다면 사무업무 및 디자인 그리고 인터넷 검색용등을 위해 다중모니터로 사용하느것이 좋습니다.

노랗목차

모니터 연결시 주로 발생되는 모니터 케이블 연결없음 및 신호없음 등의 문제 원인 및 해결방법과 모니터 케이블 종류 및 특징을 살펴보고 자신에게 맞는 모니터 연결방법에 대해 MS 윈도우와 Apple MacOS 맥북 듀얼모니터 연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 일러스트 색상보정 RGB CMYK 모니터 회전

SSD 최적화 Fresh 2022 다운로드 – Trim 설정

모니터 케이블 종류

듀얼모니터 연결 VGA HDMI DVI DP 모니터 케이블 1

이때 모니터에 연결하기 위해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PC에 VGA 모니터케이블을 연결해야하는데 이 경우 매우 다양한 모니터 케이블로 어떤 케이블을 연결해야하는지 종류 및 모니터 인식이 안되는 경우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VGA 모니터 케이블 특징

케이블 종류특징
D-Sub
RGB 모니터케이블
오래된 컴퓨터 모니터 케이블로서 CRT 모니터에서 주로 사용된 케이블의 종류

640 x 400px 70Hz (24MHz의 신호 대역폭)
1280 x 1024px (SXGA) 85Hz (160MHz)
2048 x 1536px (QXGA) 85Hz (388MHz) 까지 다양한 해상도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HDMI컴퓨터 및 노트북 그리고 핸드폰 및 TV등 다목적으로 연결 가능한 다목적 모니터 케이블로서 케이블 1개로 고품질 사운드 및 영상까지 지원하며 높은 전송속도를 자랑합니다.
DVI디지털 신호로 영상을 변환하는 모니터 케이블로 HDMI와 달리 오디오 정보는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오디오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며 DVI 케이블은 2가지로 나뉩니다.
디지털 전용 (DVI -D)
디지털 + 아날로그 겸욤 (DVI-I)
DPDisplay Port의 줄인말로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영상과 함께 오디오 소리도 함께 전송됩니다.
생긴게 hdmi 케이블과 매우 흡사하며 변환젠더를 사용해 연결하기도 용이하며 주로 최신 노트북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썬더볼트4일반 USB-C 타입과 호환되며 고속충전과 함께 외장그래픽카드 장착 그리고 듀얼모니터 연결을 위해 사용할 수 최신 연결단자입니다.
모니터 연결 케이블 종류

노트북이나 PC를 모니터가 아닌 핸드폰과 연결해 사용하는 다중모니터로는 미러링 기능을 사용하며 삼성 갤럭시의 경우 삼성덱스를 설치해서 사용합니다.

참고 : 삼성덱스 갤럭시 미러링 연결 4가지 – 컴퓨터, 노트북, TV

아이폰 아이패드 윈도우 맥북 TV 미러링 5가지

데스크탑 PC 듀얼모니터 연결

메인보드 모니터 케이블 단자
메인보드 그래픽 VGA 단자

노트북과 달리 데스크탑 PC의 경우 다양한 모니터 케이블을 지원하며 이때 VGA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곳은 크게 2군대로 나뉩니다.

  • 상단 : 메인보드 VGA 단자
  • 하단 : 그래픽카드 VGA 단자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그래픽카드 단자와 그래픽카드에서 지원하는 모니터 케이블 중에서 그래픽카드에 연결하는것이 그래픽카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화질 선명도 등이 더욱 좋습니다.

HDMI 모니터 케이블 DP 변환젠더 연결

하지만 모니터나 그래픽카드에서 지원하는 VGA 케이블 종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모니터와 동일한 케이블을 지원하는 케이블로 연결하고 만약 각 케이블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HDMI, DP, RGB 등 지원하는 모니터케이블 변환젠더를 사용해 모니터와 컴퓨터에 각각 연결합니다.

듀얼모니터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컴퓨터 본체에는 5.6개의 모니터 단자를 지원하며 모니터의 경우 기본적으로 2개 정도의 모니터 단자를 지원하기 때문에 대략 2개의 다중모니터 연결이 가능하며 추가로 모니터를 연결하고 싶다면 모니터 허브를 이용해 추가합니다.

노트북 듀얼모니터 연결

구형 노트북 VGA 듀얼모니터 연결단자
구형 노트북 VGA 듀얼모니터 연결단자

노트북의 경우 슬림한 최신 노트북의 경우 RGB와 DVI 모니터 단자를 지원하지 않는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노트북 듀얼모니터 연결을 하고 싶다면 DP 케이블을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맥북 듀얼모니터 연결 HDMI 케이블
맥북 듀얼모니터 연결 HDMI 케이블

애플의 MacOS가 설치된 맥북에어, 맥북프로의 경우 HDMI 모니터 케이블 단자를 지원합니다.

노트북 HDMI 케이블 및 썬더볼트

하지만 태블릿 기반으로 출시되는 노트북인 갤럭시북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시리즈, HP Envy Split x360과 같은 제품은 이마져도 지원하지 않고 썬더볼트4를 지원하기 때문에 썬더볼트를 통해 모니터를 연결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모니터 VGA 지원하는 USB 허브를 사용해서 노트북에 모니터를 추가로 연결합니다.

모니터 안켜짐 케이블없음 오류 해결방법 7가지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안켜짐 증상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안켜짐 증상

노트북이든 데스크탑 PC든 모니터를 연결해서 실행하게 되면 모니터가 켜지지 않거나 케이블없음 및 신호없음 등의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7가지가 있습니다.

  1. 모니터 설정변경
  2. 모니터 및 PC 케이블 연결확인
  3. 모니터 설정 Auto 변경
  4. 컴퓨터 재부팅
  5. 모니터 케이블변경 고장확인
  6. 디스플레이 설정 감지
  7.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 및 업데이트
컴퓨터 모니터 신호없음 케이블 없음 9
모니터 RGB DVI DP HDMI 등 모드변경

모니터의 경우 Mode 설정을 통해 RGB, DVI, DP, CMYK, HDMI 등등 각각 모니터에서 지원하는 케이블 종류마다 설정화면이 달라집니다.

RGB 케이블을 연결했다면 RGB 모드로 모니터를 설정해야 모니터 안켜짐이 해결되고 케이블없음이 해결됩니다.

모니터 케이블 연결안됨신호없음이 계속 해결되지 않는다면 모니터 케이블이 연결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다시한번 연결하고 그 후에도 모니터가 안켜진다면 컴퓨터를 다시 재부팅해봅니다.

컴퓨터 모니터 신호없음 케이블 없음 8

모든 설정에도 반응이 없다면 모니터 설정 Auto로 설정하거나 모니터케이블을 교체해서 테스트합니다.

모니터 인식 안될때 안켜짐 감지설정
모니터 인식 안될때 안켜짐 감지설정

윈도우에서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모니터 감지를 선택해 모니터가 연결된 장치를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니 싱글모니터 및 듀얼모니터 연결 시 인식이 안되는 경우 한번씩 눌러줍니다.

마지막으로 컴퓨터를 처음 구입하거나 윈도우를 새로 설치한 경우 그래픽카드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설치되지 않았다면 자신의 그래픽카드 드라이브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

참고 : CPU 메인보드 칩셋 바이오스 업데이트 “3DP Chip” 다운로드

다른방법으로는 윈도우 업데이트 후 재부팅 하면 이 문제는 해결됩니다.

듀얼모니터 한쪽 안켜짐

윈도우 듀얼모니터 연결 설정 확장 복제
윈도우 듀얼모니터 연결 설정 확장 복제

만약 모니터 2개 중 1개만 켜지고 1개가 켜지지 않는 상황이라면 윈도우 키 + P를 눌러주면 4개의 메뉴가 활성화됩니다.

  1. PC 화면만
  2. 복제
  3. 확장
  4. 두 번째 화면만

이때 복제 및 확장을 선택하면 듀얼모니터 한쪽만 켜지는 무제가 해결됩니다.

듀얼모니터 다중모니터 연결설정

다른방법으로는 윈도우 검색 창에 Displayswitch 입력해도 프로젝트 설정이 가능합니다.

듀얼모니터 설정방법

윈도우 데스크탑 및 노트북 모니터 설정

윈도우 사용자라면 마우스 우클릭 후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들어가 다중 듀얼모니터 설정으로 해상도 및 가로 세로, 디스플레이 확장 복제, 위치변경등이 가능합니다.

MacOS 맥북 모니터 설정

MacOS가 설치된 애플의 맥북, 아이맥 등은 시스템 환경설정 -> 디스플레이로 들어가면 연결된 레니타 디스플레이와 DP1 디스플레이 등 실제 다중 모니터 연결된 장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윈도우나 MacOS 동일하게 실제 모니터 위치에 맞게 왼쪽 오른쪽 위 아래 등 실제 모니터 위치에 맞게 좌우조절을 맞게 위치시켜줍니다.

윈도우10 듀얼모니터 바탕화면 다르게 설정 5

각각 설정된 모니터의 바탕화면을 다르게 배경화면으로 설정하고 싶다면 윈도우10 버전 이후부터는 각 이미지를 마우스 우클릭해서 모니터1 모니터2 모니터3 식으로 각각 다르게 배경화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각 모니터를 좌우로 나눠 사용하거나 이동 하고싶은 경우에는 이동할 프로그램 앱을 선택 후 윈도우 키 + 화살표 위아래 좌우키를 눌러주면 됩니다.

FAQ

듀얼모니터 설정 후 바탕화면 아이콘이 한쪽에만 보이는 이유는?

윈도우에서는 기본 모니터에만 바탕화면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아이콘을 다른 모니터에 옮기고 싶다면,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주 모니터를 변경하거나, 아이콘을 수동으로 드래그하여 옮기면 됩니다.

또는 Windows + P복제 모드가 아닌 확장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맥북에서 외부 모니터를 인식하지 못할 때는 어떻게 하나요?

macOS에서 모니터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다음을 확인해보세요.

  1. 시스템 설정 >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 감지를 수동으로 클릭합니다.
  2. 케이블이나 허브가 정품 또는 MFi 인증 제품인지 확인합니다.
  3. HDMI가 아닌 썬더볼트/USB-C 허브를 사용할 경우, 전원 부족으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외부 전원을 연결해보세요.
  4. 그래도 인식이 안 된다면 PRAM/NVRAM 초기화를 시도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듀얼모니터 연결 시 해상도가 낮게 고정되는 문제는?

그래픽카드 또는 모니터에서 지원하지 않는 해상도로 연결될 경우 자동으로 낮은 해상도로 설정됩니다. 이 경우:

  •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했는지 확인하세요.
  • 모니터 케이블(DVI, HDMI, DP 등)이 구형이거나 대역폭이 낮은 제품일 수 있습니다.
  • 모니터 자체 설정 메뉴(OSD)에서 해상도나 입력 포트를 수동으로 설정해보세요.
  • 일부 저가형 모니터는 DP to HDMI 변환 젠더 연결 시 최대 해상도 지원에 제한이 있습니다.

윈도우11에서 다중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가 보이지 않을 때는?

윈도우11에서 디스플레이 설정이 회색으로 비활성화되거나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는 대부분 드라이버 문제입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제거한 뒤, 윈도우 업데이트로 다시 설치하거나 해당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수동 설치해야 합니다.

모니터 연결 후 화면이 깜빡이거나 꺼졌다 켜지는 증상이 반복되는 이유는?

이 증상은 보통 주파수 또는 전송 간섭 문제입니다.

  •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모니터의 주사율(Hz)을 모니터 사양에 맞게 수동 설정하세요.
  • HDMI 2.0 이상이 필요한 고주사율 모니터의 경우, HDMI 1.4 케이블 사용 시 깜빡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DP 포트는 고주사율에 안정적인 반면, 불량 케이블이나 젠더를 사용할 경우 깜빡임 증상이 나타납니다.

HDMI와 DP 중 어떤 게 더 나은가요?

두 포트 모두 디지털 방식이며 오디오/비디오 전송이 가능합니다.

  • HDMI는 TV, 콘솔 게임기, 셋톱박스 등 다양한 가전기기에 폭넓게 쓰입니다.
  • DP(DisplayPort)는 주로 고해상도, 고주사율을 요구하는 게이밍 모니터나 전문가용 모니터에 적합합니다. 복수 모니터 연결에도 유리합니다.
  • 만약 모니터가 144Hz 이상을 지원한다면 DP 연결을 우선 추천합니다.

USB-C to HDMI 젠더 연결 시 모니터 인식이 안 되면?

이 경우 젠더 자체가 영상 출력을 지원하지 않는 제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충전 전용 USB-C 또는 데이터 전용 포트는 영상 출력 기능이 없습니다. 반드시 “DP Alt Mode” 또는 “Thunderbolt” 지원 포트를 사용해야 하며, 젠더도 영상 출력이 가능한 인증된 제품이어야 합니다.

무선으로 듀얼모니터 연결도 가능한가요?

네. 윈도우10 이상에서는 Miracast 기능을 통해 무선으로 모니터(또는 TV)와 연결이 가능합니다.

설정 > 디스플레이 >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을 통해 시도할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삼성 덱스(Dex)나 애플의 AirPlay도 이를 지원합니다.

단, 화질과 반응 속도는 유선 연결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모니터가 계속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해결 방법은?

절전 모드 반복은 시스템 설정 문제 혹은 신호 감지 실패 때문입니다.

  • 전원 설정에서 모니터 꺼짐 시간을 늘리거나 ‘절전 모드 사용 안함’으로 변경하세요.
  • 모니터의 ‘자동 입력 감지’를 수동 입력으로 바꾸면 해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나타났다면, 이전 그래픽 드라이버로 롤백하는 방법도 고려해보세요.

HDMI를 연결했는데 소리가 안 나올 때는 어떻게 하나요?

HDMI는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전송하지만, 윈도우에서는 출력 장치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설정 > 시스템 > 사운드 > 출력 장치에서 HDMI(또는 모니터 모델명)를 선택해주세요.

또는 작업 표시줄 우측 스피커 아이콘에서 우클릭 → ‘재생 장치’ → HDMI 출력 항목을 기본값으로 설정해야 소리가 출력됩니다.

모니터 연결 후 “확장됨”이 아닌 “복제됨”으로 인식될 때 해결 방법은?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모니터를 복제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윈도우 키 + P를 눌러 확장(Extend) 모드를 수동 선택하거나 설정 > 디스플레이 > 다중 디스플레이 > 이 디스플레이 확장을 선택해야 각각 독립된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에 외장 모니터 연결했을 때 화면이 잘리는 문제 해결법은?

해상도 불일치 또는 스케일 설정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설정 > 디스플레이 > 배율 및 레이아웃에서 배율을 100% 또는 125%로 조정하거나, 모니터 해상도를 모니터 사양에 맞춰 수동으로 지정해 주세요.

모니터 OSD(설정 메뉴)에서 화면 비율을 ‘전체’ 또는 ‘자동’으로 바꿔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케이블을 연결했는데 “이 입력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가 뜨는 경우?

해당 오류는 모니터에서 입력 신호를 받지 못하거나, 해상도/주사율이 모니터와 호환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윈도우를 안전모드나 저해상도 모드로 부팅한 뒤, 설정에서 해상도를 낮추고 다시 부팅해보세요.

또한 HDMI to DP 같은 수동 변환 젠더가 신호 변환을 제대로 못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 액티브(Active) 젠더로 교체가 필요합니다.

HDMI는 연결됐는데 모니터가 절전모드로 빠지는 경우는?

HDMI는 연결되었지만 GPU가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면 모니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합니다.

  • 그래픽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충돌한 경우
  • 그래픽카드가 두 개(Intel + Nvidia)일 때 전환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장치 관리자 > 디스플레이 어댑터에서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제거 후 재설치하세요.
    또는 BIOS에서 내장 그래픽 비활성화를 체크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썬더볼트/USB-C로 모니터 연결 시 화면이 번쩍이거나 끊길 때는?

USB-C 또는 썬더볼트 포트는 영상 전송과 충전, 데이터까지 동시에 처리하는 고속 포트입니다.

하지만 포트 전력이 부족하면 화면이 깜빡이거나 끊길 수 있으며 이럴 땐 다음을 체크해보세요.

  • 외부 전원 연결 여부 (허브나 노트북 충전 포함)
  • 케이블이 영상 전송을 지원하는지 확인 (충전 전용 X)
  • 허브가 HDMI 4K@60Hz 이상을 지원하는 제품인지 체크

윈도우에서 모니터 방향 설정이 반대로 되어 있을 땐?

윈도우에서 간혹 모니터 좌우 이동 방향이 실제 배치와 반대로 되어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설정 >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 정렬에서 각 모니터를 드래그해서 실제 배치에 맞게 위치를 조절하면 해결됩니다.

특히 가로-세로 모니터 혼합 환경에서는 회전된 화면의 방향도 맞춰줘야 합니다.

그래픽카드 포트는 있는데 모니터가 연결되지 않을 때는?

  • 데스크탑에서 메인보드가 아닌 그래픽카드 포트에 연결했는지 확인하세요.
  • 그래픽카드 보조전원(Power 6핀/8핀)이 빠져 있을 수도 있습니다.
  • 이중 그래픽 환경(Intel 내장 + 외장 GPU)일 경우, BIOS 설정에서 초기 디스플레이 출력 설정이 ‘PCI-E’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HDMI 케이블이 인식되었다가 자꾸 끊기는 이유는?

  • 케이블 자체 노후/불량
  • HDMI 포트 먼지나 접촉 불량
  • 특정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드라이버 충돌
    DDU(Display Driver Uninstaller) 유틸로 드라이버 제거 후 최신 버전 수동 설치 권장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