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원격 프로그램 비교 총정리 동시 접속부터 부가 기능까지 솔직 후기
동시 접속, 녹화, 원격 부팅, 게임 저지연, 보안, 고급설정까지 실제 사용 기준으로 담담하게 정리했습니다.
노랗목차
원격 접속을 매일 쓰다 보면 단순히 붙는지보다 몇 대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지, 녹화·원격 부팅 같은 부가 기능, 심지어 게임이나 고해상도 디자인 작업에서의 지연이 체감의 전부가 됩니다.
그래서 팀뷰어, 애니데스크, 크롬 원격 데스크톱, TeamViewer, AnyDesk, Splashtop, RustDesk, Remote Utilities, Parsec, RealVNC, DWService, Windows RDP까지 직접 써보며 느낀 점을 남깁니다.
프로그램별 한줄 사용후기와 핵심 링크
TeamViewer는 기능이 가장 풍성하고 안정적이지만 개인 무료 사용 시 제약이 잦습니다. 공식 사이트
AnyDesk는 반응성과 화질이 깔끔해 단일 세션 체감이 좋습니다. 동시 다중 제어는 요금제나 정책에 따라 제약이 느껴집니다. 공식 사이트
Chrome Remote Desktop은 설치가 가장 간단합니다. 부가 기능은 거의 없고 순수 제어·파일 확인에 적합합니다. 공식 페이지
Splashtop은 고해상도·다중 모니터에서 안정적이고 동시 세션 운영이 수월합니다. 체계적으로 쓰려면 유료 플랜이 현실적입니다. 공식 사이트
RustDesk는 오픈소스라 비용 부담이 없고 자체 서버로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기 좋습니다. 초기 세팅이 살짝 손이 갑니다. 공식 사이트
Remote Utilities는 윈도우 환경에서 가성비가 좋고 기본기가 충실합니다. 인터페이스는 클래식합니다. 공식 사이트
Parsec은 게임·그래픽처럼 저지연이 중요한 작업에 특화된 느낌입니다. 제어 품질은 뛰어나나 일반 원격 유지보수 기능은 단출합니다. 공식 사이트
RealVNC는 표준 VNC 생태계의 장점을 잘 살립니다. 기업 환경에서 정책 통제가 쉽습니다. 공식 사이트
DWService는 브라우저 기반 접근이 유연합니다. 설치가 가벼워 임시 지원에 유용합니다. 공식 사이트
Windows RDP는 네이티브 성능과 텍스트 렌더링이 좋아 문서·개발 작업에서 만족도가 높습니다. 외부 접속 구성은 보안에 신경 써야 합니다. 클라이언트 안내
체감 성능과 동시 접속 가능 수는 운영 체제, 네트워크 품질, 사용 플랜과 정책에 따라 달라집니다.
동시 접속 가능 수 체감 정리
프로그램 | 3대 동시 제어 | 5대 동시 제어 | 10대 이상 동시 제어 | 한줄 평 |
---|---|---|---|---|
TeamViewer | 요금제·정책 영향 | 관리형 환경 권장 | 엔터프라이즈 적합 | 안정적이지만 개인 무료 제약이 잦음 |
AnyDesk | 원활 | 플랜에 좌우 | 정책 구성 필요 | 반응성·화질 강점, 다중 세션은 정책 따라 편차 |
Chrome Remote Desktop | 탭 전환형 | 비권장 | 비권장 | 가벼운 확인용으로 최적 |
Splashtop | 원활 | 관리 쉬움 | 플랜 필요 | 다중 모니터·고해상도 안정적 |
RustDesk | 원활 | 서버 스펙 영향 | 자가 호스팅 전제 | 무료·프라이버시 강점, 세팅이 관건 |
Remote Utilities | 원활 | 가벼운 용도 권장 | 관리 규모 한정 | 가성비·기본기 탄탄 |
Parsec | 저지연 강점 | 제어보단 스트리밍 | 대규모 관리 비권장 | 게임·그래픽 전용 관점에서 탁월 |
RealVNC | 원활 | 정책 구성 | 엔터프라이즈 적합 | 표준 기반·정책 친화 |
DWService | 웹기반 | 비권장 | 비권장 | 즉석 지원·임시 접속에 유용 |
Windows RDP | 원활 | 게이트웨이 구성 | 서버 역할 필요 | 문서·개발 생산성 우수 |
“원활/비권장” 표기는 체감 기준이며, 실제 동시 세션 수는 요금제와 관리자 정책, 라이선스 조건에 좌우됩니다.
기능별 지원 비교
프로그램 | 녹화 | 원격 부팅(WOL) | 게임·저지연 | 다중 모니터 | 모바일 앱 | 보안(2FA/허용목록) | 특기 |
---|---|---|---|---|---|---|---|
TeamViewer | 지원 | 지원 | 보통 | 우수 | 지원 | 강력 | 주소록·정책 관리 강점 |
AnyDesk | 지원 | 환경 따라 | 체감 우수 | 좋음 | 지원 | 양호 | 화질·반응성 균형 |
Chrome RD | 없음 | 없음 | 기본 | 제한적 | 지원 | 구글 계정 기반 | 가벼운 확인용 |
Splashtop | 지원 | 구성 필요 | 저지연 양호 | 우수 | 지원 | 강력 | 고해상도 안정 |
RustDesk | 지원 | 자가 구성 | 서버 의존 | 지원 | 지원 | 키 기반·자가 서버 | 오픈소스·프라이버시 |
Remote Utilities | 지원 | 일부 | 보통 | 지원 | 지원 | 기본 | 가성비 |
Parsec | 화면 캡처 위주 | 없음 | 탁월 | 지원 | 지원 | 계정 기반 | 게임·그래픽 특화 |
RealVNC | 플랜 의존 | 구성 | 환경 차 | 지원 | 지원 | 정책·키 기반 | 표준·엔터프라이즈 |
DWService | 없음 | 없음 | 웹 경유 | 제한 | 웹앱 | 기본 | 설치 가벼움 |
Windows RDP | OS 도구 활용 | WOL 별도 | 네트워크 의존 | 우수 | 모바일 클라이언트 | AD·NLA 등 | 문서·개발 최적 |
WOL은 메인보드·BIOS·라우터 지원이 전제이며 외부에서 켜려면 포트 포워딩·VPN 등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합니다.
실사용 기준 솔직 후기
여러 대를 상시 띄워두고 전환하는 작업에서는 스플래시톱과 러스트데스크가 편했습니다.
스플래시톱은 해상도가 높은 디자인 모니터에서도 글자 에지와 스크롤이 안정적으로 표현되어 미세한 픽셀 단위 확인이 가능했고, 러스트데스크는 자체 서버를 두었을 때 지연 편차가 줄어드는 체감이 있었습니다.
만약 단일 PC 위주의 빠른 작업에는 애니데스크가 체감 반응성이 좋았고, 문서나 코드처럼 텍스트 위주의 생산성 작업은 RDP가 여전히 편안했습니다.
반대로 즉석으로 파일 하나만 가져오거나 집 PC 상태만 확인할 때는 크롬 원격 데스크톱이 가장 빠르게 끝났습니다.
게임이나 3D 관련 테스트는 파섹이 한 수 위의 느낌이었지만, 일반 유지보수 기능은 간결한 편이라 다른 툴과 병행하는 편이 효율적이었습니다.
팀뷰어·애니데스크·RDP 고급 설정 한 번에 정리
구분 | 세부 팁 | 언제 체감이 좋아지나 |
---|---|---|
레지스트리·설정 초기화 (TeamViewer) | 레지스트리 및 잔여 설정 삭제 후 재설치. 계정·장치 식별 충돌을 예방 | 상업적 사용 의심 반복, 세션 시간 단축이 지속될 때 |
네트워크 포트·프록시 | 공식 권장 포트 허용 및 프록시 예외 등록. VPN 사용 시 DNS·MTU 점검 | 사내망·카페 와이파이 등 제한망에서 끊김이 줄어듦 |
WOL 구성 | BIOS WOL 활성화, NIC 고급 설정, 라우터 포워딩·ARP 고정으로 신뢰성 확보 | 전원 꺼진 사무실 PC를 외부에서 켜야 할 때 성공률 상승 |
하드웨어 인코딩 | GPU 인코딩 허용(가능 시). 저사양 원격지 PC는 해상도·FPS를 보수적으로 | 4K 다중 모니터, 동영상·모션 UI에서 스크롤 부드러움 향상 |
IME·키보드 레이아웃 | 한/영 전환, 단축키 전달 방식을 “원격에 보냄”으로 고정 | 원격 편집기·콘솔에서 입력 꼬임이 사라짐 |
보안 정책 | 2FA, 허용목록(화이트리스트), 무인 액세스 비밀번호 길이 정책화 | 외부 침입 가능성이 줄고, 계정 탈취 리스크가 크게 감소 |
클립보드·파일전송 | 민감정보는 클립보드 동기화 제외, 대용량은 전용 전송 채널 사용 | 개인정보 유출·전송 중단 이슈 예방 |
상황별 선택 추천 원격프로그램은?
문서·개발처럼 글자 품질과 입력 지연이 중요하면 RDP가 편합니다.
여러 대를 상시 관리하거나 고해상도 모니터가 많다면 스플래시톱이 손이 덜 가고, 프라이버시와 비용을 아끼려면 러스트데스크의 자가 호스팅이 훌륭한 균형점이었습니다.
단일 PC의 빠른 문제 해결과 화면 품질은 애니데스크가 균형이 좋았고, 게임·그래픽은 파섹이 확실히 유리했습니다. 임시 지원은 DWService나 크롬 원격 데스크톱으로 시작하면 부담이 없습니다.
FAQ
원격 접속 지연을 가장 많이 줄이는 쉬운 방법은 무엇인가요?
해상도와 프레임을 과감히 낮추고, 텍스트 우선 코덱 설정을 고릅니다.
가능하면 유선 랜을 쓰고, 라우터 QoS에서 원격 세션 포트를 우선순위로 올리면 미세하게 체감이 좋아집니다.
다중 모니터 작업에서 색 정확도는 어느 프로그램이 더 좋은가요?
색은 전송 방식보다 원격지 모니터 프로파일과 애플리케이션 컬러 매니지먼트에 좌우됩니다.
디자인 검수는 캘리브레이션된 로컬 환경에서 최종 확인하는 습관이 안전합니다.
회사 PC에 외부에서 RDP를 직접 열어도 괜찮을까요?
직결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게이트웨이 또는 VPN 뒤에서 접근하고, 계정 잠금 정책과 다단계 인증을 적용하세요.
관리 포트는 기본값에서 변경하고 감사 로그를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브라우저 기반 원격과 앱 기반 원격의 체감 차이는 무엇인가요?
브라우저 기반은 접근이 쉽지만 렌더링 경로가 길어 스크롤·입력 딜레이가 더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앱 기반은 하드웨어 인코딩과 입력 전달이 효율적이라 작업에 유리합니다.
원격 부팅이 가끔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부분 ARP 테이블 소멸, 라우터의 브로드캐스트 제한, OS 전원관리 설정 때문입니다.
정적 ARP, 매직 패킷 허용, 빠른 시작 끄기, NIC 절전 끄기를 함께 적용하면 안정성이 올라갑니다.
무료 툴을 쓸 때 보안에서 꼭 지켜야 할 최소한은 무엇인가요?
공식 배포처만 사용하고, 원격 코드 실행 권한을 가진 계정은 이중 인증을 필수로 켭니다. 무인 액세스 비밀번호는 길고 유니크하게, 허용목록으로 접속 대상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게임 스트리밍처럼 초저지연이 필요한데 일반 원격 툴로 충분할까요?
대부분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파섹 같은 저지연 스트리밍 전용 도구가 체감이 훨씬 낫고, 네트워크는 5GHz 이상, 유선 랜을 권장합니다.
원격에서 한/영 전환이 꼬일 때 해결법이 있을까요?
키보드 입력 전달 옵션을 “항상 원격으로”로 고정하고, 양쪽 OS의 키보드 레이아웃을 동일하게 맞춥니다. 필요하면 RDP는 로컬 IME 사용 옵션을 끄고 원격 IME로 통일합니다.
대용량 파일을 자주 옮길 때 어떤 구성이 안정적인가요?
세션 내 드래그 전송 대신 VPN+SMB 또는 SFTP처럼 전용 채널을 권장합니다.
전송 재개 기능과 무결성 검증이 있어 중단에 강합니다.
원격 화면 녹화는 어디에 저장하는 게 좋을까요?
원격지 로컬 디스크에 먼저 저장한 뒤, 완료 후 전송하는 편이 끊김이 적습니다. 녹화 중 실시간 전송은 세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팀뷰어에서 상업적 사용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팀뷰어 계정에 등록된 장치 수와 접속 패턴을 정리하시는 것이 출발점입니다.
최근 기기 목록에서 사용하지 않는 장치를 제거하고, 허용 목록을 개인 소유 기기로만 제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장시간 연속 접속 대신 필요할 때만 접속해 세션 패턴을 단순화하시면 의심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상업적 사용 의심 해제 요청은 어떻게 준비하면 승인 확률이 높아질까요?
팀뷰어 사용 시 계속 상업적 사용이 의심된다고 뜬다면 개인적 용도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사용 사례(예: 집에서 개인 데스크톱 원격 접속, 가족 PC 원격 지원)를 정리하여 제출하시면 좋습니다.
접속 대상이 회사 장비가 아니라 개인 소유 장치임을 증빙하실 수 있으면 더 유리합니다.
또한 최근 접속 로그 스크린샷과 함께 “업무 수익 활동과 무관하다”는 점을 명확히 기재하시면 검토에 도움이 됩니다.
임시 파일·캐시 삭제로 세션 시간 단축이나 재인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캐시나 손상된 설정 때문에 재인증 루프나 비정상 종료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윈도우에서는 실행 창에서 %AppData%\TeamViewer
와 %LocalAppData%\TeamViewer
경로의 로그·캐시 파일을 삭제하시고, 재부팅 후 최신 버전을 재설치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맥에서는 ~/Library/Application Support/TeamViewer
와 ~/Library/Preferences/com.teamviewer.TeamViewer.plist
파일을 정리 후 재설치하시면 됩니다.
완전 초기화를 안전하게 진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앱 제거 → 잔여 폴더 삭제 → 재부팅 → 재설치 순서를 지키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윈도우에서는 regedit
를 통해 HKEY_CURRENT_USER\Software\TeamViewer
와 HKEY_LOCAL_MACHINE\SOFTWARE\TeamViewer
키를 제거하시고, Program Files와 AppData 내 잔여 폴더도 지우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재부팅 후 최신 설치 파일로 설치하시고, 새로운 비밀번호와 2단계 인증을 설정하시면 깔끔합니다.
네트워크 초기화로 연결 품질이 좋아질 수 있나요?
네, 경우에 따라 효과가 있습니다.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flushdns
, netsh winsock reset
, netsh int ip reset
을 실행하고 재부팅하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라우터에서는 펌웨어 업데이트, QoS 우선순위 조정, 이중 NAT 제거 등을 점검하시면 좋습니다.
AnyDesk, Chrome 원격 데스크톱, Splashtop도 초기화 방법이 있나요?
네, 각각의 방법이 있습니다.
애니데스크는 %AppData%\AnyDesk
와 %ProgramData%\AnyDesk
를 정리 후 재설치하시면 되고, 크롬 원격 데스크톱은 원격 확장을 제거 후 다시 추가하고, 호스트 앱을 삭제 후 재설치하시면 됩니다.
스플래시톱은 C:\ProgramData\Splashtop
과 AppData\Roaming\Splashtop
을 삭제 후 재설치하시면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됩니다.
그럼 원격프로그램 접속 시 유료로 결제하라고 하면서 시간지연이 되거나 하는 문제가 해결됩니다.
상업적 사용 의심을 피하기 위한 장치 관리 요령은 무엇인가요?
개인 계정 한 개만 사용하시고, 다수 동시 세션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장치는 즉시 등록 해제하시고, 무인 액세스 비밀번호는 기기별로 다르게 설정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공유 PC나 회사 장비는 개인 계정과 분리해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이의 제기 중 바로 사용해야 할 때 임시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크롬 원격 데스크톱이나 DWService처럼 개인 비상업적 사용 제약이 적은 툴을 임시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파일 전송은 VPN+SMB 또는 SFTP로 분리하시고, 디자인 작업은 스플래시톱 체험판이나 러스트데스크 자가 호스팅을 활용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상업적 사용 의심 해제 이후 동일 문제가 반복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정기적으로 앱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시고, 장치 등록과 권한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비정상적으로 세션이 짧게 끊기기 시작하면 즉시 접속을 중단하고 로그를 보관한 뒤 지원팀에 전달하시면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후 원격 앱이 느려졌을 때 확인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하드웨어 인코딩 옵션이 꺼지지 않았는지, 해상도·프레임이 과도하게 높지 않은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가상 데스크톱, HDR 옵션이 켜져 있는 경우에도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보안 솔루션의 네트워크 검사나 VPN 클라이언트 충돌도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복구가 길어질 때 최소한으로 적용해야 할 보안 설정은 무엇인가요?
모든 원격 계정에 2단계 인증을 적용하시고, 무인 액세스 비밀번호는 길고 고유한 값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허용 목록으로 접속 가능한 기기를 제한하시고, 원격 부팅은 꼭 필요한 PC에만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대체 툴을 미리 준비해 두시면 업무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