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용량 적게 표시될 때 파티션 삭제 후 초기화

USB 용량 작게 인식될 때 복구하는 방법 – 윈도우 부팅 디스크 초기화 (CMD 방식)

부팅 USB를 만들고 나서 USB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작게 인식되는 현상을 경험한 적 있나요? 윈도우11 또는 윈도우10 설치용 부팅 디스크를 생성한 뒤, 8GB 또는 16GB USB가 32MB 혹은 512MB처럼 터무니없이 적은 용량으로 표시되는 현상은 꽤 자주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노랗목차

이는 Windows Media Creation Tool이나 일부 부팅 디스크 제작 프로그램이 파티션을 시스템용으로 임의 설정하면서 전체 용량을 나누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포맷으로는 복구되지 않기 때문에 DiskPart 명령어를 활용한 USB 파티션 초기화 및 재구성이 필요합니다.

USB 용량 적게 표시될 때 파티션 삭제 후 초기화 1

이런 상황에서 USB 용량을 복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명령 프롬프트(CMD)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Step 1: 커멘드창 열기

윈도우 키 + R 키를 누른 뒤 “cmd”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거나, 시작 버튼을 클릭한 후 명령 프롬프트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검은색 바탕의 콘솔 창이 열립니다.

Step 2: Disk Part 프로그램 실행

USB 용량 적게 표시될 때 파티션 삭제 후 초기화 3

콘솔 창에서 “diskpart”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Disk Part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디스크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며, 주의가 필요한 명령어를 사용할 때에는 신중함이 요구됩니다.

Step 3: USB 디스크 번호 확인

USB 용량 적게 표시될 때 파티션 삭제 후 초기화 4

“list disk” 명령어를 입력하여 현재 인식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합니다. USB 디스크의 번호는 디스크 크기를 통해 식별할 수 있습니다.

Step 4: 파티션 삭제 후 생성, 그리고 포맷

USB 용량 적게 표시될 때 파티션 삭제 후 초기화 5

해당 USB 디스크를 선택한 후 “clean” 명령어를 통해 파티션을 제거하고, “create partition primary” 명령어로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마지막으로 “format quick fs=ntfs” 명령어를 입력하여 빠르게 NT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합니다.

이제 USB 용량이 정상적으로 복구되었습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exit” 명령어로 Disk Part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FAQ

USB 용량이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Media Creation Tool, Rufus 등의 부팅 디스크 제작 도구는 USB를 FAT32 또는 NTFS로 포맷하면서 일부 파티션을 시스템 예약 파티션으로 만들기 때문에 전체 용량이 작게 인식됩니다.

특히 EFI 부팅 구조에서는 이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DiskPart 명령어로 복구 시 데이터 복구는 가능한가요?

clean 명령어는 디스크의 모든 파티션 테이블과 구조를 삭제하므로 데이터 복구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중요한 파일이 있다면 복구 전에 백업하거나 별도 복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USB가 RAW 형식으로 인식될 때도 DiskPart로 복구가 가능한가요?

네.

파일 시스템이 RAW로 손상된 경우에도 diskpart를 통해 clean → create partition primary → format fs=ntfs 등의 절차로 정상 포맷 및 용량 복구가 가능합니다.

USB 포맷 시 NTFS와 FAT32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나요?

4GB 이상의 ISO 파일을 저장하거나 UEFI가 아닌 BIOS 부팅이 필요한 경우에는 NTFS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UEFI 부팅이 필요한 경우 FAT32가 호환성이 더 높습니다.

USB 용량이 아예 인식되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DiskPart에서도 USB가 보이지 않는다면 USB 자체의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른 포트에 연결해보거나, 디스크 관리(diskmgmt.msc) 또는 타사 복구 도구를 활용해 인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USB 용량 복구 후에도 쓰기 금지 오류가 나는 경우 해결 방법은?

CMD에서 attributes disk clear readonly 명령어를 통해 쓰기 금지 속성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스위치가 있는 USB인 경우 물리적 잠금이 설정되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야 합니다.

DiskPart가 ‘I/O 장치 오류’를 출력할 때는 어떻게 하나요?

이 오류는 USB 장치가 물리적으로 손상되었거나, 포트 연결이 불안정할 때 발생합니다. 다른 포트 또는 다른 PC에서 시도하거나, low-level format 도구를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Rufus, Ventoy 등으로 만든 USB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나요?

네. 이 도구들도 부팅 파티션을 별도로 생성하거나 FAT32 제한을 우회하기 위해 용량을 분할 사용하므로, 일반 탐색기에서는 전체 용량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디스크 관리에서 ‘볼륨 확장’이 비활성화된 경우는 왜 그런가요?

USB에 존재하는 파티션 뒤에 비할당 공간이 없으면 확장 옵션이 비활성화됩니다.

DiskPart에서 기존 파티션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해야 전체 용량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USB 용량 복구 후 다시 부팅 USB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복구가 완료된 USB는 다시 부팅 디스크로 사용할 수 있으며, Media Creation Tool, Rufus, 또는 balenaEtcher 등을 이용해 새롭게 ISO 파일을 구워주면 됩니다.

USB가 “장치를 인식할 수 없습니다”로 뜨는 경우 해결 방법은?

주로 전원 부족, 포트 문제, USB 컨트롤러 오류가 원인입니다.

다른 포트 또는 다른 PC에서 시도해보고, 장치 관리자에서 “USB 루트 허브” 제거 후 재부팅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USB가 컴퓨터에 연결해도 아예 반응이 없을 때는 고장인가요?

디스크 관리(diskmgmt.msc)에서도 표시되지 않는다면 물리적 고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 칩 문제일 수 있으며, 데이터 복구 업체를 통한 NAND 직접 추출 복구 비용은 약 15만~30만 원대입니다.

USB가 읽기 전용으로 인식되는 경우 해결 방법은?

CMD에서 diskpartattributes disk clear readonly 명령어로 해제 가능합니다.

하드웨어적으로 쓰기 보호 스위치가 있다면 OFF로 바꿔야 하고, 일부 저가형 USB는 내구성 문제로 쓰기 보호가 강제로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포맷이 불가능하다는 오류가 날 때 해결법은?

‘Windows에서 포맷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메시지가 나올 경우, diskpart에서 clean 후 다시 파티션 생성 및 포맷하거나, SDFormatter, HP USB Format Tool 등 별도 툴 사용이 필요합니다.

USB가 느리게 작동하거나 간헐적으로 끊긴다면 수리할 수 있나요?

이 증상은 납땜 불량, 전기 접촉 불량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는 수리 어려우며, 해당 USB에 중요한 데이터가 있다면 단순 접점 수리는 2~3만 원, 데이터 복구는 10만 원 이상 소요됩니다.

파일을 복사하면 USB가 자동으로 연결 해제되는 경우는?

이는 과열 또는 칩셋 손상으로 인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특히 고용량 데이터 복사 시 발생한다면 사용을 중단하고, 데이터 복구 후 폐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USB가 Windows 설치 후 ‘드라이브를 삽입하라’는 오류를 표시할 때는?

파일시스템 오류 또는 디바이스 정보가 유실된 경우로, 디스크 관리에서 볼륨을 삭제 후 다시 생성해야 합니다.

그래도 안 되는 경우 MiniTool Partition Wizard, EaseUS Partition Master 등의 무료 도구를 활용해 복원 가능합니다.

USB 디스크 이름이 이상한 문자로 바뀌는 증상은 바이러스인가요?

가능성 있습니다. 특히 autorun 바이러스나 스크립트 기반 악성코드가 설치된 경우 USB 이름 변경, 숨김 파일 생성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경우 백신 정밀검사 또는 포맷 후 재사용을 권장합니다.

USB를 꽂을 때마다 포맷하라는 메시지가 뜨는 경우 복구 가능할까요?

파일 시스템 손상으로 RAW 포맷으로 인식된 상태입니다.

데이터가 중요하다면 Recuva, PhotoRec, Disk Drill 등의 복구 도구를 먼저 사용해보세요.

단, 성공률은 60~70% 수준이며, 포맷 전 복구 시도가 필요합니다.

USB가 간헐적으로 연결/해제되는 경우는 어떤 문제가 있나요?

USB 포트 전력 부족, 연장선 문제, 납땜 불량, 커넥터 손상 등이 원인입니다. 케이블 없는 일체형 USB일 경우 포트 휘어짐으로 인한 접점 불량도 흔합니다. 이런 경우엔 포트 교체 또는 데이터 추출 후 교체가 권장됩니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