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G NX11 설치 및 크랙 라이센스 설치 Lmtools

이번에는 독일의 지멘스에서 출시한 ug nx 크랙버전의 설치 및 라이센스 설정 및 Lmtools 라이센스 설정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설치 및 크랙 적용방법은 NX11 설치로 진행되지만 NX7 ~ NX12 버전까지 모두 동일하며최근 출시되는 NX1847,NX1942등등 모든 버전은 동일합니다.

정품버전과 달리 비정품인 크랙버전은 동봉된 라이센스를 자신의 컴퓨터 이름으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신의 컴퓨터의 HostName이 무엇인지 미리 확인합니다.

그리고 Lmtools를 이용해 서버를 다운시킨 다음 NX의 일부파일을 설치된 경로에 덮어 씌우고 서버를 재실행 합니다.

그리고 컴퓨터 이름으로 바꾼 라이센스를 Lmtools를 이용해 라이센스파일을 재설정하고 실행하면 크랙버전이 설치가 완료됩니다.

정품버전 설치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NX의 크랙버전 다운로느는 구글에서 토렌트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참고 : 토렌트 원하는 파일 검색 및 다운로드 방법

본 설치방법은 NX11버전으로 진행되지만 NX6버전부터 시작해서 NX7,NX7.5,NX8,NX8.5,NX9,NX10,NX12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되느것을 테스트 했습니다.

UG NX 라이센스 설치

nx의 크랙버전은 설치파일과 SolidQuad 폴더 두개로 이루어집니다.

설치파일에 있는 Launch 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가장버전 Install License Server를 클릭해 라이센스 서버를 설치합니다.

만약 JAVA VM으로 설치가 되지 않는분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참고 : NX 설치오류 자바 JAVA VM 다운로드 및 설치

자바 VM 문제없이 설치가 진행된다면 다음으로 진행하세요

설치시 진행할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합니다.

라이선스 파일은 선택을 눌러줍니다.

라이센스파일은 크랙폴더에 있는 splm8.lic파일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설치를 하다보면 잘못된 서버 이름등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라이센스 파일을 아직 컴퓨터 이름으로 변경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그냥 무시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라이센스 서버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는 Siemens NX를 설치를 진행합니다.

NX11 설치 Install 방법

설치시 Install NX를 선택합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설치한 언어는 나중에도 자유롭게 한국어 및 영어,프랑스,일어등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합니다.

NX11 설치가 완료되었으며 설치방법은 어렵지 않고 특별히 문제되지 않으며 가장 중요한것은 크랙 적용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NX 라이센스 크랙 라이센스 설정

알기 쉽게 왼쪽은 NX가 설치된 폴더

오른쪽은 NX의 크랙을 다운로드 받은 폴더입니다.

C:\Program Files\Siemens\PLMLicenseServer

해당 경로에 크랙으로 받은 PLMLicenseServer 폴더에 있는 파일을 붙여넣기 합니다.

원본파일이 겹치는것은 덮어쓰기 합니다.

NX 라이센스 서버 Lmtools 재부팅

라이센스 파일을 이동했다면 Lmtools를 실행합니다.

Start / Stop / Reread 탭으로 이동 후 Stop Server를 눌러 서버를 다운시킵니다.

만약 Lmtools 오류가 발생한다면 방화벽 및 라이센스 파일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다음 NX의 설치 폴더로 이동합니다.

C:\Program Files\Siemens\NX 11.0

해당폴더에  NX의 크랙폴더에 있는 폴더를 이동시킵니다.

이때도 중복되는 폴더는 덮어쓰기합니다.

Splm8 파일을 메모장으로 실행합니다.

그리고 보이는 Server 옆에 있는 이름옆에 윈도우 컴퓨터 이름Host Name“을 그대로 넣어준 다음 해당파일을 저장합니다.

이때 확장자는 txt나 lic등 상관없습니다.

Lmtools 실행 후 Config Services -> Path to the License File 에 있는 Browse 를 클릭해 아까 저장한 라이센스 파일을 불러옵니다.

다음 Save Service 를 클릭해 라이센스를 저장합니다.

Start / Stop / Reread 돌아와 Stop Sever를 선택해 하단에 Stopping Serve 가 뜨는것을 확인합니다.

  1. 하단에 Force Server Shutdown 을 체크하고 Start Server를 클릭합니다.
  2. 하단에 Server Start Successful 뜨느것을 꼭 확인합니다.

이후 NX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되느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 Lmtools 종료하며 간혹 라이센스 오류가 발생한다면 Lmtoos를 실행 후 라이센스를 종료 후 다시 실행해줍니다.

설치 및 크랙설정과장이 헷갈린다면 상단에 있는 유튜브 영상도 함께 참고하세요

💡 추가 FAQ

Lmtools 실행 시 “Unable to read license file” 오류가 뜹니다. 해결 방법은?

이 오류는 라이센스 파일의 경로가 잘못 지정되었거나, 파일 이름이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Lmtools의 Config Services 탭에서 Path to the License FileLog File 경로가 정확히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고, splm8.lic 파일 내 SERVER 항목에 정확한 컴퓨터 Hostname이 입력되어 있는지 다시 확인하세요.

Lmtools에서 “Server Start Failed”가 계속 발생합니다. 이유는 뭔가요?

가장 흔한 원인은 방화벽 차단, 포트 충돌, 또는 SPLM 서비스가 이미 실행 중일 경우입니다.

윈도우 방화벽에서 lmgrd.exe, ugslmd.exe를 예외 항목으로 등록하고, 28000번 포트가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세요. 또한 작업 관리자에서 기존의 라이센스 서버 프로세스가 실행 중이라면 강제 종료 후 다시 시도합니다.

자바 VM 설치가 안 되거나 NX 설치 도중 JAVA 오류가 발생합니다.

NX 설치 시 사용되는 일부 설치 프로그램은 Java Virtual Machine을 요구합니다.

설치 실패 시에는 Oracle 공식 사이트에서 자바 8 또는 11 버전을 수동으로 설치하고, JAVA_HOME 환경변수를 정확히 설정한 후 재시도해야 합니다.

또한 32비트와 64비트 버전이 혼용되어 있을 경우 충돌이 발생하므로 하나만 설치하세요.

NX 실행 시 “License error: Invalid license file syntax” 오류가 뜹니다.

이는 .lic 파일을 메모장으로 수정한 후 저장할 때 확장자가 .txt로 잘못 저장된 경우 자주 발생합니다.

반드시 파일 확장자가 .lic인지 확인하고, 메모장 저장 시 "모든 파일"로 설정한 후 .lic로 저장해야 합니다.

크랙 적용 후 NX 실행은 되는데, 명령어 입력이나 파일 저장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크랙 파일이 불완전하거나, NX 설치 경로의 권한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설치 경로의 전체 폴더를 우클릭 → 속성 → 보안 탭에서 Users 그룹에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합니다.

NX 실행 중 디지털 서명 오류나 보안 경고가 뜹니다. 무시해도 되나요?

윈도우에서 디지털 서명이 없는 실행 파일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크랙 파일은 서명이 없기 때문에 SmartScreen 또는 보안 프로그램이 경고를 띄울 수 있습니다.

해당 파일을 실행 목록 예외로 추가하거나, ‘앱 및 브라우저 컨트롤’ 설정에서 SmartScreen 필터를 일시적으로 끄는 방식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Java 실행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해결법은?

자바 설치 후에도 환경 변수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어판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환경 변수에서 JAVA_HOME을 자바 설치 경로(예: C:\Program Files\Java\jdk1.8.0_202)로 지정한 뒤 시스템을 재부팅하세요.

Lmtools에서 “VD is starting, please check vendor daemon’s status in debug log”가 계속 출력됩니다

이 메시지는 Vendor Daemon(예: ugslmd.exe)이 실행을 시작했지만 이후 상태가 불분명할 때 발생합니다. 대부분 다음과 같은 원인에서 비롯됩니다:

  • splm8.lic 파일 내 PORT 번호가 이미 사용 중인 경우
  • .lic 파일 구문 오류 또는 줄바꿈 문제
  • 방화벽이나 보안 소프트웨어가 ugslmd.exe를 차단하는 경우

해결 방법

  1. .lic 파일의 포트를 기본값 28000 외에 다른 값으로 바꾸고 재설정
  2. 메모장 대신 Notepad++로 수정해 UTF-8 형식 저장
  3. 윈도우 방화벽에서 ugslmd.exe와 포트 예외 처리

“NX Licensing error: License path environment variable not set” 오류가 뜹니다

이 오류는 NX 프로그램이 환경 변수 UGS_LICENSE_SERVER를 인식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

  1. 시스템 환경 변수에 UGS_LICENSE_SERVER를 새로 추가
    값: 28000@<컴퓨터이름> (예: 28000@DESKTOP-PC)
  2. 설정 후 시스템 재부팅
  3. NX 다시 실행

NX 실행 시 “The application was unable to start correctly (0xc0000142)”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DLL 파일 충돌, Visual C++ 런타임 손상, 또는 크랙 파일 자체의 비호환 문제가 원인입니다.

해결 방법

  • Visual C++ 재배포 패키지 모두 삭제 후, 2008~2022 버전까지 재설치
  • 크랙 폴더 내 덮어쓰기한 파일을 원본으로 교체 후 재적용
  • 시스템 파일 검사:
    관리자 명령 프롬프트에서 sfc /scannow 실행

“This license is not valid for this version of the product” 오류

이는 라이센스 파일이 현재 NX 버전에 호환되지 않거나, 버전이 서로 불일치할 때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

  • NX 버전과 splm8.lic 파일 내 PACKAGE 또는 INCREMENT 항목이 일치하는지 확인
  • NX 1872 이상은 SPLM 라이센스 서버 버전도 함께 업데이트 되어야 함
  • 이전 버전의 크랙 라이센스를 사용할 경우 설치 시점에서 맞춰줘야 함

NX 실행 중 UI가 깨지거나 글자가 이상하게 출력됩니다

이 현상은 주로 그래픽 드라이버 비호환 또는 고해상도 DPI 스케일링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해결 방법

  • NVIDIA 제어판에서 NX 실행파일에 고성능 그래픽카드 강제 설정
  • NX 실행파일(.exe) 우클릭 → 속성 → 호환성 → 고 DPI 설정 재정의 → “시스템(확장됨)” 선택
  • 고해상도 환경에서는 디스플레이 배율을 100~125%로 설정

Lmtools에서 “Service already exists” 오류 발생

이 오류는 이미 같은 이름의 서비스가 존재할 경우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

  • 명령 프롬프트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다음 명령어 입력:
    sc delete "서비스이름"
    예: sc delete "NX_License_Service"

삭제 후 Lmtools → Config Services에서 다시 저장

You may also like...

1 Response

  1. dsnsksnskaa 댓글:

    안녕하세요.

    FLEXnet Licensing version of client newer than server. 가 뜨는데

    혹시 어떻게 해야할까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