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어 동영상 소리 각각 분리 삭제 이동 유튜브 타임라인 링크해제 배경음
프리미어를 통해 동영상 및 오디오 편집을 하게 되면 불러온 동영상과 소리 “사운드“부분이 함께 링크가 걸려 함께 움직이고 동영상이나 소리부분을 선택해서 삭제시에 모두 삭제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한번에 불러온 동영상파일에 함께 소리파일이 링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으로 프리미어 프로에서 타임라인에 있는 오디오 소리와 동영상을 별도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동영상과 오디오 파일끼리의 링크를 해제하거나 프리미어 단축키로 나눌 수 있습니다.
노랗목차
그럼 프리미어 동영상 소리 분리 및 이동 삭제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리미어 동영상 소리 분리
요즘은 동영상 콘텐츠가 일상이 되었죠.
유튜브, 인스타 릴스, 숏폼 등 다양한 플랫폼에 업로드하면서 “영상의 소리만 바꾸고 싶다”, “배경음만 삭제하고 싶다” 이런 요청도 많아지고 있어요. 프리미어 프로에서는 동영상과 오디오가 자동으로 연결(linked)되어 있어서, 타임라인에서 소리만 삭제하거나 이동하려 하면 영상까지 같이 삭제되곤 합니다.
하지만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고, 버전 업데이트된 프리미어에서는 더 간편한 단축키나 설정 옵션도 추가되었어요.

우선 프리미어에서 동영상을 불러오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프리미어 프로젝트의 위치를 지정하고 확인을 눌러 타임라인으로 동영상을 가져옵니다.

이후 타임라인에서 동영상과 오디오 “소리“부분이 함께 있는데 소리만 삭제하고 싶다면 Alt키를 누른채로 소리를 선택 후 Del키를 눌러 삭제합니다.
그럼 동영상은 그대로 유지된 채로 소리만 삭제됩니다.

반대로 소리는 남겨두고 동영상만 삭제하고싶다면 Alt키를 누른채로 동영상을 눌러 타임라인의 오디오 소리를 삭제합니다.
프리미어 동영상 오디오 분리 이동

굳이 삭제를 하지 않고 타임라인에서 소리와 동영상을 분리해서 이동시키고 싶다면 Alt키를 누른채로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동영상과 소리가 분리되어 움직입니다.
다른방법으로는 링크해제를 하고싶은 동영상과 소리를 선택 해 마우스 우클릭 “연결해제“를 눌러줘도 동일합니다.
프리미어 오디오 설정값 및 권장값 표
| 구분 | 설정 항목 | 권장 설정값 | 설명 및 활용 팁 |
|---|---|---|---|
| 프로젝트 오디오 설정 | 샘플레이트(Sample Rate) | 48000Hz (기본 권장) | 영상 편집용 표준값, 44100Hz는 음악용(유튜브 등) |
| 비트 심도(Bit Depth) | 16bit 또는 24bit | 24bit는 음질이 더 좋지만 파일 용량이 큼 | |
| 오디오 하드웨어(Audio Hardware) | 출력 장치 설정 | 사용 중인 헤드폰 또는 스피커 선택 | 장치 인식이 안 되면 프리미어 재시작 필요 |
| 오디오 트랙 형식(Audio Track Type) | 스테레오(Stereo) / 모노(Mono) | 녹음 소스에 맞게 설정 | 인터뷰는 모노, 배경음악은 스테레오 |
| 오디오 게인(Audio Gain) | +3dB ~ +6dB | 녹음 소리가 작을 때 음량 보정용 | |
| 피크 볼륨(Peak Volume) | -6dB ~ -3dB | 전체 음량의 최적 범위, 클리핑 방지 | |
| 러드니스(Loudness) | -23 LUFS (방송 기준) / -14 LUFS (유튜브 기준) | 플랫폼에 따라 음량 규격이 다름 | |
| 오디오 페이드(Fade) | 0.5~1.0초 | 배경음 전환 시 자연스러운 사운드 연출 | |
| 노이즈 감소(Denoise) | 기본값 또는 30%~50% | 음성 클립의 잡음 제거용, 과도한 적용은 음질 저하 |
프리미어 프로 오디오 관련 단축키 표
| 기능명 | 단축키 | 설명 |
|---|---|---|
| 오디오만 선택 / 이동 | Alt + 클릭 | 오디오 또는 영상 중 하나만 분리 선택 |
| 링크 해제(Unlink) | Ctrl + L | 오디오와 영상의 연결 해제 |
| 재생 / 일시정지 | Spacebar | 타임라인 미리보기 |
| 앞뒤 프레임 이동 | ← / → | 프레임 단위 이동으로 정밀 편집 |
| 소리 미세 조정 (게인) | G | 오디오 클립 게인(볼륨) 조정 창 열기 |
| 오디오 트랙 음소거(Mute) | M | 선택한 트랙 소리 끄기 |
| 오디오 트랙 단독 듣기(Solo) | S | 해당 트랙만 재생 |
| 오디오 키프레임 추가 | Ctrl + 클릭 (볼륨 라인 위) | 특정 구간 볼륨 조절 포인트 추가 |
| 전체 확대/축소 | \ (백슬래시) | 타임라인 전체 보기 조정 |
| 렌더링 후 미리보기 | Enter | 오디오/영상 함께 미리보기 렌더 실행 |
프리미어 프로에서 오디오 편집의 핵심은 소리의 균형과 명료도입니다.
불필요한 소음을 줄이고, 대화나 음악의 볼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영상 완성도가 크게 높아집니다.
특히 유튜브나 SNS용 영상은 러드니스(Loudness)를 -14LUFS 수준으로 맞추면 플랫폼에 맞는 균일한 음량으로 재생되어 시청자 경험이 개선됩니다.
또한 단축키를 익혀두면 오디오 편집 속도가 두 배 이상 빨라집니다.
Alt + 클릭으로 오디오만 선택하거나 Ctrl + L로 빠르게 링크를 해제하는 것만 익혀도 소리 분리, 삭제, 교체 작업을 훨씬 효율적으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프리미어 프로 소리 깨짐·밀림 문제 해결 팁
프리미어 프로에서 소리 관련 오류는 대부분 장치 설정 불일치나 트랙 관리 문제에서 발생하며 특히 오디오 장치가 여러 개 연결된 환경에서는 기본 출력 장치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프로젝트의 프레임레이트와 오디오 샘플레이트가 다르면 소리가 밀리거나 싱크가 어긋날 수 있습니다.
| 구분 | 증상 | 주요 원인 | 해결 방법 | 추가 팁 |
|---|---|---|---|---|
| 소리 깨짐(끊김) | 재생 시 오디오가 찢어지거나 지직거림 | CPU 과부하 또는 오디오 하드웨어 설정 불일치 | 편집 → 환경설정 → 오디오 하드웨어에서 장치 재설정 후 프리미어 재시작 | 미리보기 해상도를 1/2로 낮추면 실시간 재생 안정성 향상 |
| 소리 밀림(싱크 어긋남) | 영상보다 소리가 빠르거나 늦게 재생 | 프레임레이트(Frame Rate) 불일치 또는 오디오 드롭 발생 | 프로젝트 설정에서 영상과 오디오의 프레임레이트 일치(예: 29.97fps) | 오디오 자동 동기화(Synchronize) 기능 사용 시 쉽게 해결 가능 |
| 소리 안 나옴 | 재생 시 영상은 나오지만 소리 없음 | 오디오 트랙 음소거(Mute) 또는 장치 연결 문제 | 오디오 트랙의 Mute 해제, 출력 장치 확인(환경설정 → 오디오 하드웨어) | 외부 장치(이어폰·헤드폰) 연결 시 자동 변경 주의 |
| 내보내기 후 소리 없음 | 완성된 영상 파일에서 소리 미출력 | 내보내기 설정 시 ‘오디오 포함(Export Audio)’ 미체크 | 내보내기 창에서 오디오 포함 옵션 반드시 활성화 | 출력 포맷 확인: MP4(H.264) 포맷 사용 권장 |
| 소리 작게 들림 | 영상 전체 볼륨이 너무 낮음 | 오디오 게인 낮음 또는 믹서 레벨 미조정 | 클립 선택 후 G 키 → 게인 +3dB~+6dB 조정 | 볼륨 자동 조정(오디오 클립 믹서 활용)으로 일정한 음량 유지 |
| 소리 울림(에코) | 마이크 녹음 음성이 울려 들림 | 실내 반사음 또는 중복 트랙 오버랩 | 동일 트랙 중복 확인 후 하나만 남기기 / DeReverb 효과 적용 | 에코 제거 시 Denoise보다 DeReverb 필터 우선 사용 |
| 오디오 클리핑(음 왜곡) | 특정 부분 소리가 터지거나 왜곡 | 오디오 피크 -0dB 초과 | 오디오 게인 낮추기 또는 리미터(Limiter) 효과 적용 | 마스터 트랙 피크는 -3dB 이하 유지가 이상적 |
| 재생 중 버벅임 | 타임라인 재생 시 오디오가 끊기며 지연 | 캐시 누적 또는 CPU 부하 | 편집 → 환경설정 → 미디어 캐시 삭제 후 재시작 | SSD 환경에서 작업하면 렌더 효율 상승 |
| 외부 오디오 싱크 오류 | 외부 녹음 파일과 영상 불일치 | 녹음 시 장비별 시간차 | “Synchronize → Audio” 기능으로 자동 싱크 맞춤 | 오디오 파형 맞추기보다 자동 동기화 기능이 정확 |
| 한쪽 스피커만 소리 남 | 왼쪽 또는 오른쪽 채널만 들림 | 모노·스테레오 트랙 불일치 | 오디오 클립 우클릭 → 오디오 채널 수정(Audio Channels) | 모노 녹음 파일은 ‘왼쪽만’ 또는 ‘오른쪽만’으로 변경 후 적용 |
작업 중 소리가 끊기거나 딜레이가 생긴다면 미디어 캐시를 정리하고, 미리보기 품질을 낮춰주면 훨씬 부드럽게 재생됩니다.
이런 기본적인 관리만 꾸준히 해줘도 소리 깨짐, 밀림, 음소거 문제의 대부분은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프리미어 프로 오디오 효과(EQ, Denoise, Compressor 등) 정리표
| 구분 | 효과명 | 기능 설명 | 권장 설정값 / 사용 팁 | 활용 예시 |
|---|---|---|---|---|
| EQ (이퀄라이저) | Parametric Equalizer | 주파수 대역별로 소리를 조정하는 효과 | 보이스: 100Hz 이하 Low Cut / 2~4kHz 강조 | 목소리 명확도 향상, 울림 제거 |
| Denoise (노이즈 제거) | Adaptive Noise Reduction | 배경 잡음을 자동으로 감지해 제거 | 감도 30~50% 권장, 과도하게 적용 시 음성 손상 주의 | 실내 팬소리, 컴퓨터 팬, 바람소리 제거 |
| DeReverb (에코 제거) | Studio Reverb → DeReverb 효과 적용 | 울림(반사음)을 줄이는 기능 | 강도 40~60% 권장, 음성 중심 영상에 적합 | 회의실·강의 영상 녹음 시 사용 |
| Compressor (컴프레서) | Multiband Compressor | 큰 소리는 줄이고 작은 소리는 키워 전체 음량 균일화 | Threshold -18dB / Ratio 3:1 / Make-up Gain +3dB | 인터뷰, 브이로그, 내레이션 음량 균일화 |
| Limiter (리미터) | Hard Limiter | 볼륨 피크(Clipping)를 방지해 음 왜곡 예방 | Input Boost +3dB / Limit Max -3dB | 볼륨 조정 후 음 왜곡 방지용 |
| Dynamics (다이내믹스) | Dynamics Processing | 압축, 확장, 리미터를 통합적으로 제어 | 기본 프리셋: Vocal Leveler | 복잡한 오디오 트랙 관리에 효과적 |
| Reverb (잔향) | Studio Reverb | 공간감과 울림을 추가하는 효과 | Mix 10~20% 수준 권장 | 음악, 브이로그 배경음에 자연스러운 공간감 부여 |
| Pitch Shifter (피치 조정) | Pitch Shifter | 음성을 높이거나 낮춰 변조 | +2~+4 반음: 경쾌한 느낌 / -2~-4 반음: 묵직한 느낌 | 성우 보정, 콘텐츠 톤 조절 |
| Bass (저음 강화) | Bass EQ / Low Shelf | 저주파 대역을 강화해 묵직한 소리 연출 | 80~120Hz 대역 +3dB | 음악·게임 영상 등에 무게감 추가 |
| Treble (고음 강조) | High Shelf EQ | 고주파 대역을 살려 선명한 사운드 구현 | 5~8kHz 대역 +2~+4dB | 보이스 클리어감 향상, 여성 목소리 선명화 |
프리미어 프로에서 오디오 편집은 단순히 볼륨을 조정하는 수준을 넘어서, 보이스의 명료도와 영상의 몰입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특히 EQ, Denoise, Compressor 세 가지는 오디오 보정의 ‘기본 3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EQ로 불필요한 저음을 잘라내고, Denoise로 잡음을 제거한 뒤, Compressor로 전체 음량을 안정화하면 대부분의 오디오 품질은 눈에 띄게 향상됩니다.
또한 Limiter를 통해 피크를 제어하면 소리가 터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들리며, Reverb나 Bass, Treble 효과를 조합하면 콘텐츠에 감성적 깊이까지 더할 수 있습니다.
프리미어의 오디오 효과는 각각 독립적으로도 강력하지만, “EQ → Denoise → Compressor → Limiter” 순서로 적용하면 가장 자연스럽고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조합은 유튜브, 광고, 강의 영상 등 어떤 영상에도 적용 가능한 기본 세팅으로 추천드립니다.
유튜브용 오디오 마스터링 설정값 표 (LUFS 기준)
| 구분 | 설정 항목 | 권장값 | 설명 및 활용 팁 |
|---|---|---|---|
| 음량 표준 (Loudness) | -14 LUFS (Integrated) | 유튜브 공식 권장 음량 표준 | 너무 크면 자동 감쇠됨, 일관된 볼륨 유지 |
| 최대 피크 (True Peak) | -1.0 dBTP | 오디오 왜곡 방지 기준 | Limiter로 클리핑(Clipping) 방지 |
| EQ (이퀄라이저) | Low Cut: 80Hz / Mid: +2dB (2~4kHz) / High: +2dB (8kHz 이상) | 음성 명료도 강화, 저음 제거로 깨끗한 톤 유지 | 보이스 중심 영상에 적합 |
| Compressor (컴프레서) | Threshold: -18dB / Ratio: 3:1 / Attack: 5ms / Release: 50ms / Make-up Gain: +3dB | 볼륨 균일화, 작은 소리 키우고 큰 소리 줄이기 | 대화나 나레이션 음성에 필수 |
| Limiter (리미터) | Input Boost: +3dB / Output Ceiling: -1dB | 오디오 클리핑 방지, 전체 볼륨 안정화 | 최종 마스터 단계에 사용 |
| Denoise (노이즈 제거) | 강도 30~40% | 기본 잡음 제거 수준 | 과도하게 적용 시 음성 왜곡 주의 |
| Stereo Width (스테레오 폭) | 80~100% | 공간감 유지 | 헤드폰 감상 시 입체감 향상 |
| 러드니스 표준화 도구 | Loudness Radar, Youlean Loudness Meter 등 | -14 LUFS 유지 확인용 | 업로드 전 음량 점검 필수 |
| 출력 포맷 | AAC / 48kHz / 320kbps | 유튜브 최적 오디오 포맷 | 영상 인코딩 시 자동 압축 손실 최소화 |
유튜브용 오디오 마스터링의 핵심은 볼륨의 일관성과 음질의 안정성입니다.
유튜브는 업로드된 영상의 전체 음량을 자동으로 -14 LUFS 기준으로 보정하기 때문에, 볼륨이 너무 높게 마스터링되면 오히려 소리가 눌리거나 왜곡될 수 있습니다.
프리미어 프로에서는 오디오 믹서 창을 열고 Compressor → Limiter 순으로 이펙트를 적용하면
방송이나 광고 영상 수준의 균일한 음량을 손쉽게 맞출 수 있습니다.
또한 EQ로 불필요한 저음을 줄이고 중·고역대를 살리면 음성이 또렷해지고, 노이즈 제거(Denoise)로 잔소음을 최소화하면 훨씬 깔끔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종 마스터링 단계에서는 Loudness Meter나 Youlean Loudness Meter 같은 플러그인을 활용해 LUFS 값을 측정하고 -14LUFS, True Peak -1.0dB 수준으로 맞춰주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어떤 기기나 환경에서도 균일한 음량과 선명한 보이스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FAQ
프리미어에서 오디오와 영상이 함께 선택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영상 파일에는 기본적으로 오디오 트랙이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프리미어 프로는 이를 자동으로 링크(link) 상태로 불러오기 때문에 하나를 이동하거나 삭제할 때 다른 쪽도 함께 선택됩니다.
소리만 분리하고 싶을 때 단축키는 무엇인가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Alt 키를 누른 채 오디오 부분을 클릭하는 것입니다.
이후 Del 키를 누르면 영상은 그대로 두고 오디오만 삭제할 수 있습니다.
링크 해제(Unlink) 기능은 언제 사용하나요?
Alt 키로 분리하는 것은 임시 조작이고, 오디오와 영상을 완전히 분리해 따로 편집하려면 마우스 우클릭 → **‘연결 해제(Unlink)’**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각각 독립된 트랙으로 자유롭게 편집이 가능합니다.
영상을 불러왔는데 소리가 안 들릴 때는 왜 그런가요?
대부분의 경우 오디오 트랙이 비활성화되어 있거나, 소스 패널의 음량이 0으로 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또한 프리미어에서 오디오 하드웨어 설정(편집 > 환경설정 > 오디오 하드웨어)에서 장치 출력을 다시 선택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오디오 싱크가 어긋날 때 해결 방법이 있나요?
녹화 장비가 다를 경우 싱크가 틀어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땐 타임라인에서 오디오 파형을 기준으로 정렬하거나, “오디오 자동 동기화(Synchronize)” 기능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정렬됩니다.
다중 오디오 트랙이 있는 영상은 어떻게 관리하나요?
카메라 녹음과 외부 마이크 소리가 함께 들어있는 경우,
불필요한 트랙은 Mute(음소거)하거나 우클릭 → **“오디오 트랙 활성화/비활성화”**를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여러 트랙을 병합(Merge Clips) 기능으로 하나의 오디오로 통합할 수도 있습니다.
오디오 레벨(볼륨)을 조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타임라인의 오디오 트랙에서 노란색 볼륨 라인을 위아래로 드래그하면 소리를 즉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는 오디오 클립 믹서(Audio Clip Mixer) 창을 열어 세밀하게 조정하는 것도 좋습니다.
영상 소리만 따로 저장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내보내기(Export) 메뉴에서 형식(Format)을 WAV 또는 MP3로 지정하고, 비디오 옵션을 비활성화하면 소리만 추출됩니다.
이 기능은 인터뷰나 배경음 분리 작업 시 유용합니다.
배경음악이나 나레이션을 추가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프로젝트 패널로 음악 파일을 가져온 뒤 타임라인의 빈 오디오 트랙에 드래그하면 됩니다.
필요 시 볼륨을 줄이거나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효과를 주면 자연스럽게 조화시킬 수 있습니다.
오디오만 남기거나 영상만 남기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소리만 남기고 싶을 때는 Alt 키를 누른 채 영상 부분을 선택 후 삭제,
반대로 영상만 남기고 싶다면 Alt 키를 누른 채 오디오 부분을 삭제하면 됩니다.
완전히 분리해서 이동시키려면 링크 해제를 먼저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