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방화벽 차단해제 및 라이센스 27000 포트해제
윈도우에서 오토캐드를 사용할 때 방화벽이 차단하고 있거나 라이선스 포트가 이미 사용 중이라는 오류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화벽 차단을 해제하고 라이선스 포트를 해제할 필요가 있으며 대부분 오토캐드 실행 시 라이센스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로는 네트워크 라이센스가 방화벽에 차단되어 인증이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노랗목차
오토캐드 방화벽 예외 추가
오토캐드 소프트웨어와 라이선스 인증에 사용되는 포트를 방화벽 예외로 추가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오토데스크 오토캐드 방화벽이 해당 포트를 차단하지 않고 오토캐드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
오토캐드 설치 또는 사용 중인 방화벽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매뉴얼을 참조하여 방화벽 예외를 설정하는 방법을 확인합니다.
윈도우 검색창에서 방화벽 설정으로 들어가 방화벽을 해제하고 오토캐드를 실행합니다.
그외에도 고급설정에서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설정의 규칙을 추가해서 Autodesk의 네트워크 포트를 차단을 해제합니다.
오토데스크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포트는 2080 및 27000-27009가 열려 있는지 확인 후 규칙을 추가해 오토캐드 방화벽 포트를 해제합니다.
추가로 오토캐드 방화벽의 경우 FLEXnet 라이센스 “FNPLicenseingService64.exe“파일을 차단하며 해당 경로는 아래 위치해 있습니다.
Common Files/Macrovision Shared/FNPLicensingService64.exe
그 외에 Lmtools.exe 파일을 방화벽을 해제합니다.
- mgrd.exe
- adskflex.exe
- lmutil.exe
- lmtools.exe
해당방법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인바운드 아웃바운드에 각각 프로그램을 방화벽해제를 해줍니다.
오토캐드 Lmtools 라이센스 재실행
오토캐드를 실행하거나 Lmtools 바로 실행합니다.
- “환경설정” 창을 열기 위해 “Options”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System” 탭에서 “License Manager”를 클릭합니다.
- “Network License” 탭에서 “Change License Server Settings”를 클릭합니다.
- “Specify the License Server System”에서 “Single license server”를 선택합니다.
- 라이선스 서버 이름을 입력 후 “Advanced” 탭에서 “Configure Services”를 클릭합니다.
“LMTOOLS Utility” 창이 열리면 “Start/Stop/Reread” 탭에서 “Stop Server”를 클릭합니다.
“Start/Stop/Reread” 탭에서 “Start Server”를 클릭합니다.
오토캐드방화벽 차단을 해제하고 라이선스 포트를 해제했으므로, 오토캐드를 다시 시작하고 라이선스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오토캐드 프록시 포트설정
인터넷 옵션을 실행합니다.
- 인터넷 속성 대화 상자의 연결 탭에서 LAN 설정을 클릭합니다.
- LAN 설정 대화상자의 프록시 서버 섹션에서 LAN에 프록시 서버 사용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고급을 클릭합니다
프록시 설정 대화 상자의 예외에서 아래값을 입력합니다.
네트워크에서 WPAD(웹 프록시 자동 검색)를 사용하여 프록시를 구성하는 경우 프록시 검색을 활성화합니다.
FAQ
오토캐드 실행 시 “라이선스 서버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라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 오류는 네트워크 기반 라이선스를 사용하는 경우 방화벽, 포트 충돌 또는 서버 주소 설정 오류로 인해 발생합니다.
Options
→ System
→ License Manager
에서 지정된 서버 주소가 정확한지 확인하고, LMTOOLS
에서 포트 설정과 서버 상태를 확인한 후, 방화벽 예외에 adskflex.exe
, lmgrd.exe
, FNPLicensingService64.exe
등이 추가되어 있는지 점검하세요.
오토캐드를 사용할 때 포트 충돌로 인해 실행되지 않습니다
Autodesk 제품은 2080
, 27000~27009
포트를 사용합니다. 해당 포트가 다른 프로그램(NX, SolidWorks 등)과 충돌할 경우 포트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LICPATH.LIC
또는 adskflex.opt
파일에서 포트를 수동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방화벽 예외도 새 포트에 맞게 다시 등록해야 합니다.
LMTOOLS에서 서버가 “Starting” 상태로 멈춰 있습니다
LMTOOLS
실행 후 “Server Start Successful”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고 계속 “Starting”으로 남아 있다면, 관리자 권한 부족 또는 방화벽 차단, 혹은 라이선스 파일의 호스트 이름/맥주소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Services.msc
에서 관련 서비스가 정상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license.dat
파일의 내용도 다시 검토해야 합니다.
오토캐드를 재설치했는데도 여전히 라이선스 오류가 발생합니다
오토캐드를 완전히 삭제한 후에도 라이선스 오류가 지속된다면, 레지스트리와 TEMP 폴더에 남아 있는 임시 파일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C:\ProgramData\Autodesk\ADLM
, C:\Program Files\Common Files\Autodesk Shared
경로를 완전히 삭제하고, 레지스트리 편집기(regedit)에서 Autodesk
관련 항목을 정리한 뒤 재설치를 시도해보세요.
오토캐드 실행 시 프록시 오류 또는 인터넷 연결 불가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회사 또는 교육기관 네트워크처럼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프록시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Autodesk 인증 서버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인터넷 옵션’ → ‘LAN 설정’ → ‘프록시 서버’ 항목에서 프록시 예외 주소(198.168.1.101:809
등)를 등록하고, WPAD 자동 감지도 함께 활성화하면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LMTOOLS에서 여러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는데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나요?
Autodesk용으로 등록된 서비스 이름은 보통 Autodesk Network License Manager
또는 adskflex
로 표시됩니다.
Siemens나 SolidWorks 등 타 프로그램의 ugslmd
, sw_d
서비스와 혼동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Config Services 탭에서 정확한 라이선스 경로가 지정되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Windows Defender 외에 타 백신 소프트웨어도 포트를 차단하나요?
네, Windows Defender뿐만 아니라 AhnLab, Avast, 알약, Norton 등 타 보안 프로그램도 Autodesk의 포트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백신 프로그램 내 ‘방화벽 예외’ 또는 ‘신뢰 프로그램’ 설정을 통해 adskflex.exe
, lmgrd.exe
, FNPLicensingService64.exe
등을 등록해야 합니다.
Autodesk 제품 설치 후 환경변수를 설정해야 하나요?
대부분의 경우 자동 설정되지만, 간혹 환경변수 ADSKFLEX_LICENSE_FILE
이 누락되면 수동으로 추가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 변수는 Autodesk 네트워크 라이선스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 ADSKFLEX_LICENSE_FILE = 2080@license-server
.
오토캐드 체험판을 사용 중인데 라이선스 오류가 발생합니다
체험판은 인터넷 연결을 통해 Autodesk 서버에서 자동으로 인증을 받습니다.
하지만 방화벽 또는 프록시 설정이 올바르지 않으면 인증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환경을 점검한 후 프록시 예외 및 방화벽 허용 목록을 재확인하세요. 필요 시 오토캐드 데스크탑 앱을 통해 인증 상태를 재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