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한글 안쳐질때 영어 한국어 폰트 설치추가 설정 5가지

문서 프로그램인 워드나 엑셀, 파워포인트, 한컴오피스 뿐만 아니라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트를 통해 타이포그래픽 디자인을 디자인하거나 프리미어등에서 자막을 추가해야 할 경우 윈도우 한글 안쳐질때가 있으며 영어로만 작성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혹 윈도우에서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가장 쉬운 방법은 컴퓨터를 재부팅 하느것이 좋겠지만 그래도 동일한 문제가 계속 반복된다면 윈도우 한글 안쳐질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5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 한글 안쳐질때 해결방법 5가지

  1. 메모장에 한글을 쳐서 복사 붙여넣기
  2. 인터넷 주소창에 한글을 쳐서 복사 붙여넣기
  3. 윈도우 키 + 스페이스바 눌러 한국어 입력기 변경
  4. 윈도우 한글폰트 글꼴 설치 및 지역 대한민국 변경
  5. 레지스트리 편집기 Ctfomom 추가

한글 메모장 및 스티커 복사 붙여넣기

윈도우 한글 안쳐질때 영어 한국어 설정방법 5가지 1
한글 안쳐질때 메모장이나 스티커메모등을 실행합니다.

가장 흔한 방법으로 한글이 갑자기 안쳐질때 메모장이나 스티커메모장을 실행합니다.

윈도우 한글 안쳐질때 영어 한국어 설정방법 5가지 2
한글이 갑자기 안쳐진다면 다른 공간에 글을 작성 후 복사 후 붙여넣기하면 해결됩니다.

그 외에도 인터넷 주소창을 이용해서 한/영 키보드를 눌러가며 한글로 전환되는지 확인해봅니다.

윈도우 키 + 스페이스바 눌러 한국어 입력기 변경

윈도우10 한글 안쳐질때 작업표시줄 A -> 가 변경합니다.
윈도우10 한글 안쳐질때 작업표시줄 A -> 가 변경합니다.

다음은 제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방법으로 윈도우 키 + 스페이스바를 눌러 우측 하단의 작업표시줄에 A -> 가로 변경해주느것입니다.

IMG 20220610 100201

영어 (미국)USB 키보드에서 한국어 Microsoft 입력기로 변경합니다.

만약 한국어 입력기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윈도우에서 한국어 폰트추가로 설치해야합니다.

그리고 한국어 키보드 입력 변환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레지스트리 Ctfomom를 추가하며 간혹 한글폰트가 개지는 경우 유니코드 재설정합니다.

윈도우10 한국어 폰트 글꼴설치

한글폰트가 설치되지 않아 영어로만 작성이 되는 경우 한글폰트를 추가합니다.

윈도우10 한국어 폰트 글꼴설치 2

윈도우 검색창에 시스템 설정 -> 언어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윈도우10 한국어 폰트 글꼴설치 3
한글 안쳐짐 및 영문판 윈도우 한글 변경방법

윈도우 표시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합니다.

그리고 기본설정 언어에서 한국어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언어추가를 통해 추가합니다.

윈도우10 한국어 폰트 글꼴설치 5
텍스트 음성파일과 음성인식, 필기 설치

폰트 추가 시 언어팩 외에도 텍스트 음성파일과 음성인식, 필기등의 내용을 추가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한국어 폰트 글꼴설치 6

추가 설치가 되고 기본설정 언어를 한국어 및 영어등 원하는 언어로 변경합니다.

윈도우10 한국어 폰트 글꼴설치 8

이후 컴퓨터를 재부팅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음 한국어 안쳐질때 해당 폰트의 옵션으로 들어갑니다.

윈도우10 한국어 폰트 글꼴설치 9

키보드 추가에서 원하는 언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한국어 폰트 글꼴설치 10

날짜 및 시간 및 사용지역 언어를 선택해 영어 “미국 US”가 아닌 대한민국으로 지역을 변경합니다.

윈도우10 한국어 폰트 글꼴설치 11

국가 또는 지역을 한국으로 설정하고 사용지역 언어를 한국어[대한민국]으로 설정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Ctfomom 추가

윈도우 한글 안쳐질때 영어 한국어 설정방법 5가지 6

윈도우 키 + R을 눌러 Regedit 입력 후 확인을 눌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윈도우 한글 안쳐질때 영어 한국어 설정방법 5가지 10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아래 경로로 이동합니다.

SOFTWARE -> MICROISOFT -> WINDOW -> CURRENTVERSION -> RUN

마우스 우클릭 후 “새로만들기“를 선택해 “문자열 값“을 추가합니다.

윈도우 한글 안쳐질때 영어 한국어 설정방법 5가지 13

ctfmon 으로 이름으로 생성합니다.

이후 다시 ctfmon을 더블클릭하면 문자열편집이 실행합니다.

값 데이터에 “ctfmon”=”ctfmon.exe”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윈도우 한글 안쳐질때 영어 한국어 설정방법 5가지 14

이후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아주면 작업표시줄에 한글 및 영어변경이 가능해집니다.

FAQ – 윈도우에서 한글 입력이 안 될 때 자주 묻는 질문

한글이 안 써지는데 한/영 키는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왜 이런가요?

이런 경우는 대부분 입력기 오류나 언어 전환이 비정상적으로 작동 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작업표시줄의 언어표시(A/가)를 확인해 현재 한국어 입력기가 활성화돼 있는지 확인하세요.
  • 작동 중인 프로그램이 한글 입력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 경우(특히 게임, 일부 외산 앱)도 있을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설정에서 ctfmon을 추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ctfmon.exe텍스트 입력 관련 서비스로, 윈도우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으면 한글 입력기가 비활성화됩니다.

레지스트리에 해당 항목을 추가하면 매 부팅 시 자동으로 입력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한글 전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언어는 한국어로 되어 있는데 여전히 한글 입력이 안 됩니다.

  • 한국어 언어팩은 설치되어 있어도, 입력기(IME)만 누락된 경우가 있습니다.
    언어 설정 → 한국어 옵션 → Microsoft 입력기(IME) 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누락되어 있다면 ‘언어 기능 추가’를 통해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외국에서 산 노트북인데 한글이 전혀 안 됩니다. 해결 방법은?

이 경우는 윈도우 설치 시 언어 기본값이 영어(US) 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 → 한국어 추가
  2. ‘언어 팩 설치’, ‘키보드’, ‘음성’, ‘필기’ 기능 모두 체크
  3. 국가 또는 지역을 대한민국으로 변경
  4. 재부팅 후 한글 입력 가능 여부 확인

한글은 쳐지는데, 일부 앱에서만 안 됩니다. 왜 그런가요?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된 프로그램에서 IME가 비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예: 포토샵, 프리미어, 일부 게임 런처 등
  • 해결방법: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서 한글이 입력되는지 확인해보세요.
    → 이 경우 전체 윈도우 환경이 아닌 앱 권한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한글은 되지만 일부 자음이나 모음이 안 나와요. 입력이 끊깁니다.

이런 경우는 키보드 드라이버 문제 또는 IME 충돌일 수 있습니다.

  • 장치 관리자 → 키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 입력기 초기화: 언어 → 한국어 → 옵션 → Microsoft 입력기 제거 후 재설치

부팅할 때마다 한글 입력이 초기화돼요. 매번 ‘A’로 시작됩니다.

부팅 시 자동으로 한국어 입력기가 로딩되지 않는 문제일 수 있습니다.

  • ctfmon.exe를 레지스트리에 등록해 자동 실행
  • 또는 작업 스케줄러(Task Scheduler)를 이용해 ctfmon.exe를 부팅 시 실행되도록 등록

ctfmon.exe 자동 실행 레지스트리 등록 파일

  1. 메모장을 엽니다.
  2. 아래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기 합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ctfmon"="ctfmon.exe"
  1. 다른 이름으로 저장 > 파일 이름: ctfmon_autorun.reg
  2. 파일 형식은 반드시 “모든 파일”로 선택, 인코딩은 ANSI로 저장
  3. 저장한 .reg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병합 → ‘예(Y)’를 눌러 레지스트리에 등록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