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어 시퀀스 설정 – Adobe Preimeire Pro Sequence
Adobe에서 출시한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으로 프리미어 프로 “Pro”와 러시“Rush”가 있으며 동영상에 효과를 주는 프로그램은 에프터이펙트, 그리고 동영상을 인코딩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미디어인코더가 대표적인 영상 편집 프로그램으로서 이러한 동영상 편집을 위해서 가장 먼저 알아야할 명칭은 바로 프리미어 시퀀스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노랗목차
시퀀스 “Sequence“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젝트 설정으로서 우리들이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등 이미지 편집을 위해 사용되는 캔버스와 비슷한 단어라고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프리미어 시퀀스 생성하기
프리미어는 크게 2가지 버전이 있으며 고급사용자를 위한 프리미어 프로와 일반사용자들이 쉽게 영상편집을 하기 위한 프리미어 러쉬가 있습니다.
- 상단 메뉴에서 File → New → Sequence 클릭
- 프로젝트 패널에서 New Item → Sequence 클릭 (리스트에서 우클릭해도 동일)
- 단축키 [Ctrl + N)
새 프로젝트 “시퀀스“를 생성하면 어디에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할지 미리 지정합니다.
동영상 렌더링시 사용할 렌더러로 그래픽카드로 사용할 GPU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선택이 가능합니다.
✅ 작업 목적별 프리미어 시퀀스 설정 추천
🎬 유튜브 영상 제작 (FHD 기준)
- 시퀀스 프리셋: Digital SLR → 1080p → DSLR 1080p24 (또는 25, 30FPS)
- 해상도: 1920 × 1080 (16:9)
- 프레임 속도(FPS): 29.97 또는 30FPS
- 렌더러(Renderer): Mercury Playback Engine GPU Acceleration (Metal or CUDA)
- 오디오 샘플 속도: 48000 Hz
- 비디오 프리뷰 코덱: I-Frame Only MPEG
- 스크래치 디스크: SSD 또는 고속 NVMe 저장 장치 지정
📌 30FPS는 유튜브 및 SNS에 가장 최적화된 표준입니다.
📱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등 세로형 콘텐츠
- 해상도: 1080 × 1920 (9:16 세로형)
- FPS: 30FPS
- 시퀀스 설정: 커스텀(Custom)에서 직접 해상도 설정
- 렌더러: GPU 가속 활성화
- 비디오 미리보기: MPEG I-Frame
- 내보내기 포맷 추천: H.264 → Match Source – High bitrate
📌 세로형 콘텐츠는 모바일 전용 플랫폼에 적합하며, 꼭 인코딩 시 9:16 비율을 유지하세요.
🎞 영화 및 시네마틱 영상
- 시퀀스 프리셋: RED R3D 또는 ARRI → 2K 또는 4K 선택
- 해상도: 2048 × 1080 (2K) / 3840 × 2160 (4K)
- FPS: 23.976FPS (또는 24FPS)
- 색상 설정: Composite in Linear Color 체크 ON
- 렌더 품질: Maximum Render Quality 체크
- 비트심도 설정: Maximum Bit Depth ON
- 오디오: 48000Hz
📌 23.976FPS는 영화, 드라마 특유의 시네마틱 느낌을 줍니다.
🎮 게임 영상, 고프레임 슬로우모션 편집
- 해상도: 1920 × 1080 또는 2560 × 1440 (QHD)
- FPS: 60FPS 이상
- 시퀀스 설정: DSLR 1080p60 또는 커스텀
- 렌더러: GPU 가속 (고프레임 편집 성능 필수)
- 미리보기 포맷: GoPro CineForm (고품질)
- 오디오: 48000Hz
📌 60FPS는 슬로우 모션 효과를 넣거나 게임 영상의 부드러움을 강조할 때 유용합니다.
💡 기타 팁
- 편집 후 출력 시 FPS와 해상도는 시퀀스 기준으로 맞춰야 인코딩 속도와 품질이 안정적입니다.
- 영상 클립 기준 시퀀스 생성이 가장 오류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 클립 드래그 → “New Sequence from Clip”
프리미어 스크래치 디스크 설정
그럼 해당경로에 동영상 편집에서 사용되는 영상소스 및 오디오 소스 그리고 렌더링시 사용되는 이미지 등을 저장하는 경로로 사용됩니다.
그 옆에 스크래치 디스크 탭으로 이동하면 각각 프리미어 동영상 및 오디오 편집시 사용되는 디스크 저장소를 지정하게 되는데 이 때 프리미어 동영상 편집 시 사용되는 스크래치 디스크 용량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포토샵 스크래치 디스크와 달리 읽기 쓰기 속도가 빠르고 용량이 넉넉한 드라이브로 설정합니다.
프리미어 프로에는 시퀀스 설정을 위해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본 프리셋을 제공합니다.
- Available Presets: 각종 기본 프리셋과 커스텀 프리셋 선택합니다.
- Preset Description: 프리셋 속성 표시합니다.
- Delete Preset: 지정된 커스텀 프리셋 삭제합니다.
- Sequence Name: 시퀀스 이름 설정합니다.
-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확인을 눌러줍니다.
다음 두번째 프리미어 시퀀스 설정탭으로 이동합니다.
- 비디오
- 프레임 사이즈 Frame Size: 영상 크기 설정 / 1K (FHD), 2K (QHD), 4K (UHD) 등
- 픽셀 종횡비 : Pixel Aspect Ratio: 영상 픽셀의 가로 세로 비율 설정
- 필드 Fields: 주사 방식 설정
- 표시 형식 Video Display Format: 영상 시간 표시 기준 설정
- 오디오
- 샘플 속도 Sample Rate: 오디오 샘플링 주파수 영역 설정
- 표시 형식 Audio Display Format: 오디오 시간 표시 기준 설정
- 비디오 미리보기
- 파일 형식 미리보기 Preview File Format: 프리뷰 랜더링 포맷 설정
- 코덱 Codec: 미리보기에 사용될 코덱 설정
- 폭 Maximum Bit Depth: 비트레이트 심도 최대로 설정
- 높이 Maximum Render Quality: 랜더링 퀄리티 최대로 설정
- 13. Composite in Linear Color: 선형 색상 사용 여부 설정
- 14. Save Preset: 현재 프리셋 속성 저장
편집보드와 시간기준에 대한 프레임 베이스 “FPS”를 지정합니다.
FPS 프레임 | 설명 |
---|---|
24FPS | 가장 낮은 초당 프레임으로서 30프레임보다 낮아 비교적 끊겨보이는 프레임으로 일반적으로 우리들이 흔히 보는 드라마나 영화, 게임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30FPS | 가장 대중적인 프레임으로서 우리들이 흔히 보는 유튜브 동영상 그리고 일반 핸드폰 카메라 동영상 촬영시에도 사용됩니다. |
60FPS | 옜날에는 잘 사용되지 않았지만 하드웨어 성능이 좋아지면서 고사양 게임이나 고프로와 같은 액션카메라에서 주로 사용되며 고 프레임의 장점을 살려 슬로우모션이나 특수효과 편집등 당야한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
여기서 말하는 프레임 FPS “Frame”은 화면에 초당 보여주는 이미지 갯수를 말하며 보다 많은 이미지 프레임이 있다면 더욱 부드럽고 선명한 동영상 화질을 보여줄 수 있지만 단점은 동영상 편집시 컴퓨터 사양을 많이 필요하고 동영상 용량도 커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드롭 프레임 “Drop Frame” : 소수점으로 떨어지는 프레임
- 논드롭 프레임 “Non Drop Frame” : 정수치로 떨어지는 프레임
- 23.976 (24FPS) / 29.97 (30FPS) / 59.94 (60FPS)
여기서 사용되는 프레임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서 드롭프레임과 논드롭 프레임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Video Track: 시퀀스 비디오 트랙 수 설정
2. Master: 오디오 마스터 속성 설정
3. Number of Channels: 오디오 마스터 채널 수 설정
4. Add a track: 오디오 트랙 추가
5. Delete selected tracks: 선택한 오디오 트랙 제거
6. Select this track for deletion: 오디오 트랙 제거
트랙 탭으로 이동하면 프리미어 시퀀스의 비디오 트랙과 오디오 설정이 가능합니다.
💡 FAQ – 프리미어 시퀀스 생성 및 설정 시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법
시퀀스 생성이 되지 않거나 회색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이는 GPU 가속 기능이 꺼져 있거나, 드라이버 호환 문제일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 상단 메뉴 →
파일(File)
→프로젝트 설정(Project Settings)
→일반(General)
에서
렌더러(Renderer) 를Mercury Playback Engine Software Only
로 변경 후 시퀀스 재생성 -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Intel 내장 GPU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Quick Sync Video
활성화 여부 확인 필요
시퀀스를 만들었는데 영상 소스와 프레임 설정이 안 맞아 흐릿하게 보여요
영상 소스를 먼저 불러온 후 시퀀스를 생성하지 않고 시퀀스를 먼저 만든 경우 해상도와 FPS가 다를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 영상 클립을 프로젝트에 끌어다 놓을 때,
"클립에 맞는 시퀀스 설정을 하시겠습니까?"
메시지가 뜨면 “예”를 선택 - 또는 기존 시퀀스를 삭제하고, 클립에 마우스 우클릭 →
"New Sequence from Clip"
선택
프리미어에서 시퀀스 설정을 저장했는데 불러오기가 안 되는 경우
프리셋 저장 시 "시퀀스 프리셋 폴더"
에 저장되지 않았거나, 운영체제 권한 문제로 저장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해결 방법
사용자 프리셋은 .sqpreset
파일로 저장되며, 아래 경로를 확인합니다:
C:\Users\사용자명\Documents\Adobe\Premiere Pro\버전\Profile-xxx\Settings\SequencePresets
저장된 프리셋을 불러오기 위해 "Preset Description"
아래에서 "사용자 지정(Custom)"
항목 확인
시퀀스를 만들었는데 타임라인에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아요
시퀀스는 생성되었지만 타임라인 패널에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해결 방법
- 상단 메뉴 →
Window → Timeline
클릭 - 또는 프로젝트 패널에서 시퀀스 더블 클릭
프리미어 시퀀스가 갑자기 재생되지 않거나 버벅이는 경우
- 프리뷰 렌더 파일 손상
- 하드디스크 속도 부족
- 프로젝트 설정과 클립 포맷 불일치
해결 방법
- 시퀀스 타임라인에서
Enter
키 눌러 렌더링 Sequence → Delete Render Files
클릭 후 다시 렌더- 프록시(Proxy) 기능 활용:
File → Project Settings → Ingest Settings
에서 프록시 생성 설정
시퀀스를 만들었는데 저장 시 용량이 너무 커져요
- 고해상도 설정 (4K, 60FPS 등)을 적용하고, 비트레이트 제한 없이 인코딩한 경우
- 프리뷰 코덱이 고비트레이트로 설정되어 렌더링 캐시 용량이 커짐
해결 방법
- 인코딩 시
H.264
형식 선택 후YouTube 1080p
,매체 용도용 프리셋
등으로 비트레이트 자동 조정 - 시퀀스 설정에서 프리뷰 파일 형식을
I-Frame Only MPEG
등 용량 적은 코덱으로 설정
시퀀스를 다른 프로젝트로 옮기려면 어떻게 하나요?
File → Import
→ 다른 프로젝트 열기- 열리는 창에서 시퀀스만 선택
- 또는 기존 프로젝트의 시퀀스를 복사 후 새로운 프로젝트에 붙여넣기
✅ 추가 TIP – 프리미어 시퀀스 관련 실무 팁
- 시퀀스 생성 시 처음부터 영상 클립을 기준으로 만들면 오류 최소화
- 스크래치 디스크는 반드시 SSD 등 빠른 저장 장치로 지정
Drop Frame / Non-Drop Frame
은 타임코드 표기 방식이므로 렌더링 결과와는 무관60FPS
이상 프레임은 고사양 그래픽카드, SSD 필수
프리미어 동영상 저장 밝고 선명하게 MP4 AVI 내보내기